총 3개
-
방통대 표본조사론2024.10.311. 제품 평균 무게 추정 1.1. 전체 제품의 평균 무게에 대한 95% 신뢰구간 1.2. 제품 평균 무게 오차한계가 2.0g 이내가 되도록 하는 표본 크기 제품 평균 무게 오차한계가 2.0g 이내가 되도록 하는 표본 크기는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 먼저, 오차한계가 B(=2.0g)이 되기 위한 표본의 크기 n0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이용할 수 있다. n0 = (z_α/2 * s / B)^2 여기서 z_α/2는 신뢰수준 α에 해당하는 표준정규분포의 분위수이며, s는 표본분산이다. 제공된 정보에 따르면...2024.10.31
-
생물통계학 생후 3주된 병아리2024.10.271. Data의 대표값과 산포도 1.1. 모수와 통계량 모수와 통계량은 통계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모집단의 수적 특성을 나타내는 통계적 수치를 모수라 하며, 표본의 통계적 수치를 통계량이라 한다. 모수는 그리스 문자를 기호로 사용하고, 통계량의 기호는 영문자를 사용한다. 모집단의 모수를 모르는 경우, 표본의 통계량을 이용하여 모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때 표본의 통계량은 모집단의 모수를 대표하는 값이 된다. 예를 들어 모집단의 평균을 나타내는 모수 μ는 표본의 평균 값 x̄로 추정할 수 있다. 모수와 통계량의 관계를 ...2024.10.27
-
생물통계학2024.10.151. Data의 대표값과 산포도 1.1. 모수와 통계량 모수(parameter)와 통계량(statistic)은 데이터의 수적 특성을 나타내는 통계적 수치이다. 모집단의 수적 특성을 나타내는 통계적 수치를 모수라 하며, 표본의 통계적 수치를 통계량이라 한다. 즉, 모수는 모집단 전체를 대표하는 값이고, 통계량은 표본을 대표하는 값이다. 연구자는 표본의 통계량으로부터 모집단의 모수를 추정할 수 있다. 모수는 그리스 문자로 나타내는데, 대표적으로 모평균을 μ, 모분산을 σ^2로 표기한다. 반면 통계량은 영문자로 나타내는데, 대표적으...2024.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