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구약성서 이해2024.10.081. 구약성서 이해 1.1. 구약성서와 유대민족 구약성서와 유대민족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유대인들에게 가장 큰 특징은 그들의 역사의식에서 알 수 있다. 유대인들은 과거를 기억하며 자신들의 정체성을 찾는 민족이다. 그들에게 구약성서는 역사적인 체험을 신앙으로 해석하여 인생의 궁극적인 의미를 밝히려는 거룩한 역사이자, 사람들의 삶 속에서 역사하시는 하나님에 관한 이야기이다. 구약성서의 핵심은 유대민족의 역사와 그들의 하나님과의 관계이다. 구약성서는 창세기부터 다니엘서까지 약 천년에 걸친 유대민족의 역사를 담고 있다. 이스라엘 백...2024.10.08
-
대선지서2024.11.081. 구약의 선지자들 1.1. 예레미야 1.1.1. 이름의 뜻과 유래 예레미야는 '여화와 께서 세우심'이라는 뜻을 가진다. 이는 수심에 잠긴 나라를 향한 그의 부모의 기도와 젊은 예레미야를 향한 열망을 잘 나타내 주는 것 같다. 1.1.2. 시대적 배경 예레미야는 유다의 마지막 다섯 왕들인 요시야, 여호아하스, 여호야김, 여호야긴, 시드기야 치하에서 예언하였다. 예레미야는 유다 왕국이 파멸하는 시기 전반에 걸쳐 살았다. 요시야 왕(B.C.640-609)의 통치 때인 B.C. 627년에 소명을 받은 예레미야는 아무런 방해 없이...2024.11.08
-
남유다의 멸망은 하나님의 심판인가2024.11.161. 구약의 세계와 인성 과제 1.1. 이사야 1.1.1. 연대와 저작권 아모스의 아들 이사야는 존경받는 예루살렘의 시민이고, 히스기야 왕이 신뢰하던 조언자입니다. 이사야는 B.C. 739년 웃시야 왕이 죽던 해에 소명을 받고, 므낫세 왕이 통치할 때까지 선지자 사역을 계속합니다. 그는 므낫세의 박해 때문에 순교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B.C. 697년에 므낫세가 왕자로 등극된 후 이사야가 공적으로 메시지를 선포했다는 명백한 증거가 없지만 아마도 이사야 후반부(사40-66장)에 기록한 형태로 그의 메시지를 보전했을 것입니다. 1....2024.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