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폐 절제술 환자 호흡운동 프로그램2024.09.191. 폐절제술 환자의 호흡운동 프로그램 적용 1.1. 사업배경 폐 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폐포 환기와 폐활량 및 기능적 잔기량 등이 크게 감소하고, 수술 후 발생하는 통증으로 인해 폐 합병증이 많이 발생하여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폐엽절제술 또는 전폐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의 사망률은 12%에서 2%로 줄었으나 폐 합병증 발생률은 49%로 여전히 높게 보고되며, 수술 후 폐 기능이 회복되기까지는 약 3개월이 걸린다. 수술 후 발생하는 폐 합병증은 입원 기간을 증가시키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2024.09.19
-
진단서2024.10.091. 병원에서의 불분명한 사망진단서 발급 실태 1.1. 교통사고 후 사망한 환자를 '병사'로 판정한 사례 교통사고로 다쳐 사망한 환자를 '병사 판정'한 서울대병원 사례를 보면, 2009년 6월 18일 황씨는 손자와 공놀이를 하다 공이 도로로 굴러가자 주우러 갔다가 지나가던 차량에 치여 우측 상완골 근위부 골절상을 입었다. 이 사고로 인해 황씨는 지난 7년간 20여 차례의 수술과 재활치료를 받아야 했으며, 결국 수술부위에 삽입된 인공물질로 인한 '패혈증'으로 2016년 8월 서울대병원에서 사망하게 되었다. 그러나 서울대병원은 황씨의...2024.10.09
-
폐암 흉관관리와 지식부족2024.09.061. 서론 누구나 '암'이라는 단어를 두려워한다. 그 중에서도 폐암이 사망률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만큼 관심이 쏠리기 마련이지만 증상이 기침, 가래, 숨이 차는 것과 같이 여러 호흡기 질환과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이기에 조기발견이 드물다. 또한 쉽게 전이되는 경향이 있어 생존율도 저조한 상태이다. 그렇기에 환자는 장기적으로 이어질 항암치료와 불확실한 미래에 두려움이 클 것이라 예상이 된다. 따라서 폐암 환자의 간호목표는 치료과정 중 생기는 합병증의 예방과 정서적 지지이다. 폐암은 남에게서만이 아닌, 소중한 이를 포함한 어느 누...2024.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