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평화사상과 통일의 길2024.10.071. 평화통일과 북한선교를 위한 교회의 과제 1.1. 분단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한반도의 남북 분단은 전적으로 외세에 의한 것이다. 한반도 주변의 대륙세력(소련, 중국)과 해양세력(일본, 미국, 영국) 간의 갈등이 역사적으로 오래전부터 한반도의 양분을 초래했다. 구체적으로, ①1593년 중국과 일본의 세력균형을 이유로 일본의 도요도미 히데요시와 명나라의 위학회가 '조선 8도 양분론'을 시도한 것을 시작으로, ②1894년 일본과 청나라의 전쟁을 막는 수단으로 한반도를 나누자는 영국의 킴벌리 외상의 주장이 있었다. 또한 ③190...2024.10.07
-
연평해전2024.09.191. 연평해전과 영화 연평해전 1.1. 연평해전의 배경 연평해전의 배경은 다음과 같다.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이 체결되면서 남북한 간 육상경계선은 설정되었지만 해양경계선은 설정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1953년 8월 30일 당시 주한 유엔군 사령관이던 마크 클라크(Mark W. Clark)가 한반도 해역에서의 남북 간 우발적 무력 충돌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서해 5개 도서(백령도·대청도·소청도·연평도·우도)와 북한 황해도 지역의 중간선을 기준으로 '북방한계선(NLL: Northern Limit Line)'을 설정하였다. ...2024.09.19
-
영화 연평해전 군인정신2024.09.191. 한국전쟁 60주년 1.1. 개요 한국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새벽 북한군의 남침으로 발발한 전쟁으로,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 체결로 3년 1개월 만에 일단락되었다. 남과 북이 서로를 향해 포화를 주고받은 전쟁은 온 민족에게 비극적인 사건이었다. 전쟁은 한반도를 폐허로 만들었고, 약 25만 명의 사망자와 10만여 명의 전쟁고아, 천만 명이 넘는 이산가족을 만들어냈다. 또한 경제적, 사회적 암흑기를 초래하였다. 이처럼 한국전쟁은 한민족이 겪은 큰 비극이었으며, 60년이 지난 지금에도 분단의 고통과 아픔이 지속되고 ...2024.09.19
-
통일방안2024.09.031. 통일정책의 역사와 현황 1.1. 남한의 통일정책 변천 1.1.1. 1950년대-1960년대: 반공과 북진통일론 정부 수립 이후 1960년대 말까지 북한은 '반국가단체', 또는 '수복'의 대상으로 여겨졌다. 이 시기 남한의 통일방안은 '남북 자유 총선거에 의한 단일국가 수립'이었다. 이승만 정부는 북한 정권과의 협상을 배제한 채 국내적으로는 북한 지역의 주권 회복을 위한 북진통일을 주장했다. 국제적으로는 미국의 주도 아래 유엔에서 결의한 바 있는 유엔 감시 하의 남북한 총선거 원칙을 되풀이했다. 그러나 북한과 구소련은 이러한...2024.09.03
-
평화사상과통일의길2024.09.071. 서론 우리나라는 한 민족이 이념, 사상으로 분단된 유일한 분단국가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남한과 북한이 다른 이념과 가치관, 역사관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갈등이 더욱 심각한 상태이다. 남한은 자유민주주의, 북한은 공산주의라는 체제의 차이도 존재하는 만큼 더욱 통일이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우리나라의 통일정책은 국가의 주요 정책 목표로 자리잡아 왔으며, 이는 단순히 정책적 측면 뿐 아니라 외교적 측면과 국가안보의 측면에서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남한과 북한의 통일정책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발전해왔고,...2024.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