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한국어의 자음 체계, 모음 체계, 초분절음 체계2024.10.091. 서론 음운론은 자음과 모음 같은 분절음에 관하여 연구한 이론이고, 운율론은 성조와 장단 및 억양 같은 초분절음적 요소를 연구한 이론이다. 전 세계 언어별로 제각각의 자음과 모음이 존재하며 초분절음의 구조와 중요도도 모두 다르다. 필자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 베트남어를 배운 적이 있고 언어마다 다양한 부분에서 유사성과 차이점을 느끼며 대조해보면서 수많은 의문을 품는 동시에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한국어에는 분절음과 초분절음의 관계에서 어떤 것이 더 중요한가? 과연 분절음과 초분절음 중에서 어떤 것이 더 본질적이고 습득이 더 ...2024.10.09
-
비음, 유음, 장애음, 마찰음의 발음교육 방안과 활동 유형에 대하여 서술하시오2024.10.301. 서론 1.1. 한국어 학습자 증가 추세 우리나라의 고등 교육 기관에서 공부하는 외국인의 수는 매년 늘고 있다. 2003년에는 12,314명이던 수준이 2017년이 되면 123,858명까지 늘었다. 14년 만에 10배가 늘어난 셈이다. 우리나라 인구 중 외국인의 비중은 2023년 현재 4.98%, 내년에는 5%를 넘을 것이라고 예측한다. 우리나라도 이제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기 시작한 것이다. 현지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들도 늘어나고 있다. 2007년에는 55개국 632곳에 불과하던 한국학 강의 개설 대학이나 기관의 수가 ...2024.10.30
-
영어권 학습자와 중국어권 학습자가 함께 있는 중급의 한국어 교실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자음 오류 상황을 가정하여 오류 수정 방안을 기술하시오2025.08.061. 서론 1.1.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K팝을 비롯한 한류 열풍에 힘입어 최근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세종학당은 2023년 6월 기준 248개소가 전세계에 설치되어 있으며, 2027년까지 350개로 대폭 확대할 예정이다. 이러한 확대 계획에는 모두 한국어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이 반영되어 있다. 하지만 이렇게 한글을 배우는 사람들이 입을 모아 하는 말이 "한글은 쉬운데, 한국어는 어렵다"이다. 인도에서 온 아누그라하 씨는 한국어의 존대말에 대한 어려움을 표했고, 이탈리아인 레몬디 씨는 한자어와...2025.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