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chronic tonsillitis2024.09.131. 만성 편도선염과 아데노이드 비대 1.1. 편도선(tonsil) 구조 및 기능 1.1.1. 편도선의 구조 편도선은 림프액 순환을 위한 주요 조직으로, 구개편도(palatine tonsil)와 인두편도(pharyngeal tonsil)로 이루어져 있다. 구개편도는 대체로 타원형 모양이며 길이는 20-25mm, 폭은 15-20mm, 깊이는 12mm, 무게는 약 1.5g 정도이다. 인두편도는 아데노이드(adenoids)라고 불리는데, 인두의 천정부에 위치하고 있다. 편도선은 림프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도 감염에 대한 방어역할을...2024.09.13
-
아동 편도염 간호진단 통증2024.10.241. 편도염 질환 개요 1.1. 정의 편도는 인두강에 위치한 림프 조직덩이리이다. 편도선은 병원체 침입 시 병원체를 여과하여 호흡기와 소화관을 보호하고, 항체 형성에 관여한다. 편도의 크기는 다양하지만, 아동은 어른보다 편도가 훨씬 더 크다. 이 차이는 어린 아동이 특히 상기도 감염에 취약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방어기전으로 생각된다. 1.2. 병태생리 편도는 인두강에 위치한 림프 조직덩이리이다. 편도선은 병원체 침입 시 병원체를 여과하여 호흡기와 소화관을 보호하고, 항체 형성에 관여한다. 편도의 크기는 다양하지만, 아동은 어른보다...2024.10.24
-
편도염2024.10.231. 서론 1.1. 문헌고찰 1.1.1. 급성편도염의 정의 급성 편도염이란 편도를 구성하는 혀 편도, 인두 편도, 구개 편도 중 주로 구개 편도에 발생하는 급성 염증을 말하며, 대부분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을 통해 발생한다"이다. 1.1.2. 급성편도염의 병태생리 편도선은 입과 코로 들어오는 항원에 대해서 반응을 하고, 주로 점막의 표면을 방어하기 위해 항체를 만들어 분비하는 조직이다. 이러한 편도는 출생 시부터 커지기 시작하여 면역학적으로 4-10세에 가장 활발하다가 사춘기 이후에는 점차 퇴화한다. 급성편도염이란 이러한 편도 ...2024.10.23
-
T and A 수술 아동 케이스 스터디2024.10.301. 인두염 Case Study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인두염은 감염으로 인해 인두와 편도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2017년 가장 많은 외래 진료 환자 수 10위(472만명)를 차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0~9세가 27.1%로 가장 많았으며, 30대, 10대, 40대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기에 보편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라고 볼 수 있다. 이번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 실제 임상에서 관찰한 인두염 증상들을 비교해보고, 적절한 치료법을 연구하여 인두염에 대한 실제적인 지식...2024.10.30
-
아동 만성편도염2025.01.311. 서론 1.1. 만성 편도염의 정의 편도는 구인두와 비인두에 있는 림프선(림프절) 상피 조직이다. 병원체 침입 시 병원체를 여과하여 호흡기와 소화관을 보호하고 항체 형성을 한다. 흔히 편도가 부었다고 하면 목젖 양쪽의 편도를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부위에 있는 편도는 편도 조직 중 하나인 구개편도이다. 입안에서 눈으로 볼 수 있는 구개편도 외에도 비인두에 있는 아데노이드라는 인두편도와 혀뿌리에 있는 설편도가 있는데, 이 편도들은 입안에서 보이지 않는다. 반복적인 상기도 감염이나 다른 전신 질환과 관련된 증상 혹은 특별한 이...2025.01.31
-
급성편도염 통증 간호진단2025.01.31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아이들은 성인에 비해 면역력이 매우 약하여 여러 질병과 감염에 상당히 노출되어 있다. 아동기에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 중 하나인 급성 편도염은 감기로 인한 2차 감염이나 세균에 의한 직접 감염이 원인이며, 4세~9세 아동이 편도선의 크기가 커지는 시기로 세균에 노출되는 기회가 많아 자주 발생한다. 10세 이상이 되면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생겨 발생 빈도가 적어지지만, 청소년과 성인에서도 계속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이번 사례 연구를 통해 급성 편도염의 원인, 진단, 치료 등을 알아보고, 그...2025.01.31
-
수술실 편도절제술 간호과정2025.02.121. 서론 수술실에서 이루어지는 편도절제술은 편도 질환으로 인한 반복적인 불편감과 합병증을 해결하기 위한 주요한 처치이다. 편도는 구강 및 인두에 위치하며, 상기도 감염에 대한 방어기능을 하는 중요한 림프조직이다. 하지만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편도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편도절제술은 이러한 편도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수술적 치료법이다. 이 보고서에서는 편도절제술의 세부적인 과정과 간호 중재를 살펴보고자 한다. 2. 편도선의 구조와 기능 편도선은 목의 안쪽과 코의 뒷부분에 위치하며,...202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