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우리나라2024.09.261. 우리나라의 역사서 1.1. 동국통감 1.1.1. 동국통감의 편찬 동국통감은 성종 16년(987년)에 편찬된 우리나라 최초의 관찬(官撰) 통사 역사서이다. 동국통감의 편찬에는 서거정을 비롯하여 이극돈, 표연말, 최부 등이 참여하였다. 서거정은 동국통감 편찬의 대표를 맡았고, 이극돈은 동국통감의 서문을 작성하였다. 동국통감은 총 56권 28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군조선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편년체와 강목법을 활용하여 기술하고 있다. 동국통감의 편찬은 조선 초기 성종 때 이루어졌는데, 이는 당시 한반도의 역사에 대한 ...2024.09.26
-
경상대 한국근현대사의 이해2024.12.171. 한국 근현대사의 이해 1.1. 현채의 생애 현채는 1865년(철종 7년), 조선시대 역관가문인 천녕 현씨 집안에서 태어났다" 18세인 1873년 한학(漢學)에 급제한 후 일본어 공부에 몰두하다가, 1892년 부산항 감리서의 역학으로 발탁되어 서기관까지 진급했다. 이 시기 그는 개항의 분위기 속에서 많은 일본인들과 접촉하며 일본의 학문을 공부했다. 이후 갑오개혁기에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주사에 임명되었고, 1895년 5월에는 관립외국어학교와 한성사범학교의 부교관을 지냈으며, 한성의 을미의숙을 설립하기도 했다. 1899년 학부...2024.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