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영통구 현황2024.09.261. 지역사회 개요 1.1. 수원시의 유래와 역사 수원에서 언제부터 사람이 살았을까? 우리나라에서 구석기시대 사람들이 살기 시작한 것은 약 70만 년 전부터다. 그렇다면 수원에서는 언제부터 사람이 살았을까? 그것은 대략 25~20만년 전부터였을 것으로 보인다. 수원의 지동과 이의동에서 중기 구석기시대〔(25-20만 년 전)~4만 년 전〕로 추정되는 긁개와 여러면석기, 몸돌, 격지 등이 채집되었고, 고색동유적과 파장동유적, 화성 대야미리유적에서 중기 구석기시대 후기와 후기 구석기시대(4만 년 전~ 1만 년 전)의 여러면석기 및 긁개...2024.09.26
-
당수동 인구사회학적특성2024.10.201. 지역 현황 1.1. 수원시 팔달구 개요 1.1.1. 수원시 유래와 역사 우리나라에서 구석기시대 사람들이 살기 시작한 것은 약 70만 년 전부터이다. 수원지역에서는 지동과 이의동에서 중기 구석기시대[(25-20만 년 전) ~ 4만 년 전]로 추정되는 긁개와 여러면석기, 몸돌, 격지 등이 채집되었다. 또 고색동유적·파장동유적과 옛 수원지역에 속했던 화성 대야미리유적에서 중기 구석기시대 후기와 후기 구석기시대(4만 년 전 ~ 1만 년 전)의 여러면석기 및 긁개, 밀개, 홈날, 주먹대패, 찌르개, 몸돌 등이 수습되었다. 그리고 화...2024.10.20
-
팔달구 보건소2024.09.101. 지역사회 간호사정 1.1. 지역 특성 1.1.1. 지리적 특성 팔달구는 수원시의 중심부에 위치한 도시 지역이다. 팔달구의 면적은 12.86㎢로 수원시 전체 면적의 10.6%를 차지하고 있다. 팔달구의 지리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팔달구는 수원시 중심에 위치하고 있어 지리적 접근성이 뛰어난 편이다. 팔달구는 수원시 4개구 중 가장 작은 면적을 가지고 있지만, 인구밀도는 1㎢당 16,657명으로 가장 높은 편이다. 이는 타 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에 많은 인구가 밀집되어 살고 있음을 의미한다. 팔달구 내 행...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