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개
-
약학개론2024.08.141. 서론 1.1. 의약분업에 따른 약사의 역할 변화 의약분업 실시 이후 약사의 역할은 크게 변화했다. 의약분업 이전에는 약사가 임의로 약을 조제할 수 있었지만, 의약분업 이후에는 의사의 처방전에 따라서만 약을 조제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약사의 역할이 단순 조제 업무 중심으로 축소되었으며, 의사와 약사의 전문성 및 역할 구분이 보다 명확해졌다. 의약분업 이전에는 약사가 임의로 약을 조제할 수 있었기 때문에 환자들은 의사의 진찰을 받지 않고도 약국에 가서 필요한 약을 구입할 수 있었다. 약사는 환자의 증상에 따라 적절한...2024.08.14
-
건강검진센터 업무를 잘할 수 있는 이유2024.09.021. 지역사회 보건사업에서 보건의료인 간 협력 1.1. 팀 의료의 의의와 효과 팀 의료란 보건의료 분야에서 의사, 간호사, 약사, 영양사, 사회복지사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환자에게 최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는 복합적인 문제를 가진 환자들의 욕구를 보다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게 한다. 팀 의료의 주된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자 중심의 통합적인 의료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다양한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환자의 의학적, 심리사회적 요구를 종합적으로 사정하고 이에 대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2024.09.02
-
임상병리학과2024.11.071. 임상병리사 전공 소개 1.1. 임상병리검사학 정의 및 분야 임상병리검사학(clinical laboratory science, CLS, medical technology)은 기초과학, 기초의학을 사용해서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대변, 체액 및 조직 등의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경과관찰, 치료 및 예후판정 등에 관련된 검사를 시행하는 학문이다. 임상병리학의 주요 분야로는 임상화학, 임상혈액학, 임상면역학, 임상미생물학, 임상생리학, 면역혈액학, 수혈의학, 세포유전학, 진단분자유전학, 조직병리학 등이 있다. 이...2024.11.07
-
임상병리사 하는일2024.11.181. 임상병리학과 소개 1.1. 임상병리학과의 정의와 역할 임상병리학과는 혈액이나 체액, 소변, 조직 등을 화학, 생물학, 물리학, 유전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임상검사 기술을 연구하고, 질병의 진단과 치료 및 예후 등을 판단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의·생명 분야가 융합된 응용학문이다. 특히 임상 화학, 진단 혈액학, 임상 미생물학, 임상 면역학, 수혈의학, 진단조직세포학, 세포유전학 및 분자유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뢰성 있는 정확한 검사 결과를 제공하여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임상병리사를 양...2024.11.18
-
임상병리사 대학병원 합격2024.10.131. 임상병리학과(임상의학과) 1.1. 임상병리학과 소개 임상병리학과는 혈액이나 체액, 소변, 조직 등을 화학, 생물학, 물리학, 유전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임상검사 기술을 연구하고, 질병의 진단과 치료 및 예후 등을 판단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의·생명 분야가 융합된 응용학문이다. 특히 임상 화학, 진단 혈액학, 임상 미생물학, 임상 면역학, 수혈의학, 진단조직세포학, 세포유전학 및 분자유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뢰성 있는 정확한 검사 결과를 제공하여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임상병리사를 양성...2024.10.13
-
간호사와 방사선사2025.05.031. 간호사와 방사선사 1.1. 임상의 다양한 전문분야 조사 1.1.1. 간호사 간호사는 모든 개인, 가정,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건강의 회복, 질병의 예방, 건강의 유지와 그 증진에 필요한 지식, 기력, 의지와 자원을 갖추도록 직접 도와주는 활동을 한다. 간호사는 대학의 간호(학)과를 졸업하고 전문적 간호에 관한 지식과 간호 실무 능력을 인정받아 정부로부터 면허를 취득한 자이다. 간호사가 되려면 대학 또는 전문대학의 간호대학, 간호학부, 간호학과, 간호과를 졸업하고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시행하는 간호사 국가시험에 합격한 후...2025.05.03
-
약학개론2025.04.131. 약학개론 1.1. 의료기관 조사 보고서 1.1.1. 서울대학교 병원 약제부 서울대학교병원 약제부는 전문적인 약제서비스를 통해 환자들의 약물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입원환자와 의약분업 예외환자들에 대해 정확한 투약업무와 함께 특수 복약지도를 시행하고 있다. 전공약사제도와 약학대학 학생실무교육을 통해 약사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고도의 전문성을 요하는 임상약제업무를 통해 약의 적절한 사용을 추구한다. 서울대 약제부는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24시간 매우 바쁘게 운영되고 있다. 서울대 병원에서 ...2025.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