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일반건강진단결과표2024.11.221. 근로자 건강진단 1.1. 근로자 건강진단의 의의 근로자 건강진단의 의의는 상시 사용하는 근로자의 건강관리를 위하여 사업주가 주기적(사무직 근로자는 2년에 1회 이상, 기타 근로자는 1년에 1회 이상)으로 실시하는 건강진단이다. 다른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일반 건강진단에 준하는 건강진단을 받은 경우에도 일반건강진단을 실시하지 아니할 수 있다. 사무직에 종사하는 근로자는 공장 또는 공사현장과 같은 구역에 있지 아니한 사무실에서 서무·인사·경리·판매·설계 등 사무업무(판매업무 등에 직접 종사하는 근로자는 제외)에 종사하는 근로자를...2024.11.22
-
야간작업당뇨병2025.03.20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야간작업 및 교대근무는 근로자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 교대근무와 야간작업은 정상적인 생체리듬을 교란시켜 수면장애, 대사증후군, 심혈관질환, 위장관질환 등의 발생률을 높인다. 특히 야간작업은 교대근무의 한 형태로서 심각한 건강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근로자들의 야간작업과 관련된 건강문제를 확인하고 이를 예방 및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근로자의 대사증후군 유소견자 비율을 알아보고 문제를 예방 및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야간작업 근...2025.03.20
-
학교 전문 인력 배치기준2025.03.241. 학교 전문 인력 배치기준 1.1. 근거 법령: 학교보건법 학교보건법 학교보건법은 학교의 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여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을 보호·증진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법에 따르면 학교에는 의료인, 약사, 보건교사를 둘 수 있다. 의료인과 약사는 학교장이 위촉하거나 채용하며, 그들의 직무는 학교보건계획 수립에 관한 자문, 학교 환경위생 관리 및 개선에 관한 자문,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진단과 건강평가, 각종 질병의 예방처치 및 보건지도,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상담, 그 밖에 학교보건관리에 관한 지도 등이다. ...2025.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