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제주대병원 투약 오류 사고2024.10.131. 서론 1.1. 의료 안전사고 현황 의료 안전사고 현황은 의료 분야의 전문화, 대형화에 따라 의료진들의 책임의식과 안전의식이 저하되면서 병원 내 안전관리 관련 의료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외에서는 국가마다 차이가 있으나 입원당 5.0~16.3%의 위해 사건이 발생하고 그중 12.5~19.8%가 사망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때 발생한 위해 사건 중 최소 29%에서 최대 83%까지가 예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의 경우 2016년부터 의료기관들이 자발적으로 환자안전사고에 대해 신고하는 '환자...2024.10.13
-
투약오류보고서2024.10.041. 투약오류의 정의와 개념 1.1. 이론적 정의 미국 투약오류보고 및 예방협의회(National Coordinating Council for Medication Error Reporting and Prevention; NCC MERP)에 의하면 '투약오류는 의료진, 환자 또는 소비자에 의해 관리되는 동안에 부적절한 약물사용을 야기시키고 환자에게 위해를 가하는 예방 가능한 사건'이라고 정의하였다""Barker 등은 '환자의 의무기록에 적힌 의사의 처방대로 투약하지 않은 경우'로 정의하였다"" 1.2. 조작적 정의 조작적 정의"투약...2024.10.04
-
투약오류 개선 방안2025.07.301. 서론 1.1. 최근 투약오류 관련 사건의 발생 최근 제주대학교 병원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12개월 영아가 간호사의 투약오류로 숨진 사건이 발생하였다. 담당 간호사가 투여 경로를 오인하여 에피네프린 5mg을 정맥주사로 주입한 것이 원인이었고, 사건 보고 또한 영아 사망 후 4일이나 지연되어 보고되었다. 이와 같이 투약오류는 환자에게 심각한 위해를 줄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국내 선행연구에 따르면 근무경력 1년 미만 신규간호사의 투약오류율이 매우 높아 간호관리자 차원에서 신규간호사의 투약오류 방지를 위한 대책이...2025.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