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94개
-
간호학과 약리학 문제2024.10.311. 개요 1.1. 고지혈증 환자 사례 OO님은 47세 남자환자로 2020년에 고혈압(hypertension)과 고지혈증(hyperlipidemia) 진단을 받았다. 현재 아토르바스타틴(atorvastatin)과 암로디핀(amlodipine)을 복용 중이다. OO님은 고지혈증 진단 전에 한 달에 한 병 정도의 술을 마셨지만 진단 이후에는 가끔 반병 정도만 마신다고 한다. 그러나 여전히 육류와 인스턴트 식품을 좋아하여 줄이기가 힘든 상황이며, 운동도 전혀 하고 있지 않다. 최근에는 처방받은 약을 꾸준히 먹지 않고 간헐적으로 복용해 ...2024.10.31
-
환자 안전 사건 보고서2024.10.011. 환자안전사건 보고서 1.1. 수면내시경 환자 낙상 사고 1.1.1. 환자안전 사건 개요 2014년 12월 19일 09시 50분경 A씨는 건강검진을 위해 내원하였다. 병원의 의료진은 A씨에게 미다졸람 4㎖를 주사한 후 상부 소화관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사 후 A씨를 회복실로 옮겼는데, 의식이 충분히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침대에서 떨어져 낙상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A씨는 경추 후관절 탈골증, 경추 골절, 불완전 척수마비 진단을 받고 수술 및 재활치료를 받게 되었다. 1.1.2. 문제점 분석 이 사건 낙상사고의...2024.10.01
-
투약 인근오류2024.10.211. 투약오류 사례 분석 1.1. 경구 투약 오류 1.1.1. 약물 혼동 사례 80세 당뇨병환자에게 고지혈증 치료제인 리피토 대신 고혈압약인 코자를 조제하는 등 약모양이 비슷한 의약품을 잘못 투약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감기 증상으로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던 생후 19개월 된 남자아이 A군에게 모기약을 감기약으로 알고 투약한 사례도 있었다. 당시 A군의 부모는 간호사가 가져온 시럽병의 하얀 액체의 냄새가 이상해 다시 확인했으나 해당 간호사가 "감기약이 새로 처방됐다"며 약을 먹이도록 지시했다. 2-3㏄ 정도의 모기약을 ...2024.10.21
-
투약 근접오류 사례2024.11.081. 환자안전과 근접오류 1.1. 근접오류의 개념 근접오류는 환자안전 사고 전에 발견되어 환자에게 위험이 가지 않은 사건을 말한다. 접수된 근접오류 사건의 발생 분석을 통해 환자안전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개선하여 안전한 병원을 함께 만들어 갈 수 있다. 특히 근접오류 사건 중에서 투약과 관련된 오류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근접오류는 실제 유해 사건보다 적게 발생하지만, 치명적인 결과를 야기할 수 있어 의료계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1.2. 근접오류 사례 분석 근접오류 사례 분석을 보면, 투약과...2024.11.08
-
코로나19와 간호 리더십 적용2024.11.031. 간호전문직의 역할과 리더십 1.1. 코로나19 상황에서의 간호전문직 역할 개발 1.1.1. 병원간호사, 보건진료 전담 공무원 등 다양한 간호전문직 역할 병원간호사, 보건진료 전담 공무원 등 다양한 간호전문직 역할은 코로나19 상황에서 매우 중요하다. 병원간호사는 코로나19 확진 환자를 직접 간호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코로나19 환자의 증상 관찰, 호흡기 관리, 약물 투여 등 전반적인 간호를 제공하며,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 또한 코로나19 관련 치료 프로토콜 및 감염관리 지침을 숙지하고...2024.11.03
-
투약사고 윤리적2024.11.031. 서론 1.1. 주제 선정의 이유 투약은 질병의 회복과 예방,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인체에 의약품을 이용하는 방법이나, 이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경우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고 사망에 까지 이르게 할 수 있는 행위이다"" 한 과정에서라도 실수가 있다면, 바로 그 파장은 환자에게로 가고, 가볍게는 그냥 관찰 정도만 필요한 경우에서 심하면 사망에 이르기까지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의료인 자신도 윤리적, 법적인 책임을 지어야 한다"" 아무리 투약오류가 사소하더라도, 환자에게는 아주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투약오...2024.11.03
-
투약사고 판례2024.11.08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투약은 간호사에게 가장 중요하고 책임감 있는 업무 중 하나이다. 투약 과정에서 한 번의 실수라도 환자의 생명과 직결될 수 있기 때문에 투약오류를 예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실제로 임상 현장에서 주사와 관련된 투약오류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투약이 간호사 업무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간호사가 직접 환자에게 투약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투약오류에 대한 간호사의 책임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주로 약물 라벨을 잘못 읽거나, 환자 확인을 하지 않고 다른 환자에게 약을 준 경우, 약물 투...2024.11.08
-
간호사 투약오류 교육2024.10.081. 서론 1.1. 투약오류가 간호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투약오류가 간호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환자안전통계연보에 따르면 2020년 환자안전사고는 총 13,919건으로 2019년에 비해 11.6% 증가하였으며 이 중 투약오류는 전체의 31.1%로 두 번째로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투약오류는 모든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이며 이는 대상자의 입원 기간을 연장하여 환자에게 추가 비용 부담,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고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투약오류를 행한 간호사 역시 자기 자신을 비난하며 지식과 기술에 대해 자신...2024.10.08
-
코로나19와 간호 리더십 적용2024.10.011. 서론 1.1. 코로나19 상황에서의 간호전문직 역할 코로나19 상황에서의 간호전문직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전문직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첫째, 간호전문직은 코로나19 확진자를 직접 간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간호사는 코로나19로 인해 입원한 환자들의 간호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중증 환자들의 호흡 관리와 증상 완화를 위한 간호중재를 수행하고 있으며, 환자 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즉각적인 대응을 통해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또...2024.10.01
-
간호사의 윤리적・법적 의료사고사건을 찾아 판례분석2024.09.271. 서론 1.1. 의료과오 발생 현황 의료과오 발생 현황은 의학기술의 발달로 더욱 다양하고 복잡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의사와 간호사의 업무 분담이 전문화, 분업화되면서 간호사의 독립적인 지위와 책임이 요구되고 있어 간호사에 의한 의료과오에 대한 분쟁이 증가하고 있다. 투약오류는 전체 오류 중 33%가 투약과 관련되고 그 중 1.2%는 환자에게 치명적인 상해나 사망을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약물의 용량으로 인한 부작용 및 치명적인 상해는 어린이나 노약자뿐만 아니라 전 연령대에 걸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투약 오류와 관련...2024.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