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혈액투석 목적2024.10.041. 투석의 개요 1.1. 투석의 정의 투석이란 반투막을 사용하여 확산, 삼투, 여과 작용에 의해 신부전 환자의 혈중 대사성 노폐물, 과다한 전해질 및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혈액투석 시에는 인공 신장기에 있는 투석기막을, 복막투석 시에는 복강을 둘러싸고 있는 복막을 반투막으로 사용한다. 투석은 신기능 대체요법의 일종으로 사구체 여과율이 약 10ml/min 이하일 때 필요해지지만 환자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1.2. 투석의 목적 투석의 목적은 혈액 내 요소와 크레아티닌 등의 단백질 최종 대사산물과 체내의 과잉 수분을 제...2024.10.04
-
인공신장실 질관리2024.11.051. 혈액투석 1.1. 만성 신부전의 병리 만성 신부전의 병리는 다음과 같다. 만성 신부전은 신장 기능이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나빠져서 원래 상태로 호전되지 않는 상태이다. 만성 신부전의 원인 질환으로는 빈도 순으로 당뇨병, 고혈압, 사구체 질환, 원인 불명, 다낭성 신질환 등이 있다. 노령층에서는 원인 질환이 신장 경화증, 당뇨병, 세뇨관 간질성 신염, 폐쇄성 요로병증, 사구체 질환, 다낭성 질환의 순으로 약간 바뀐다. 만성 신부전에서는 식이 요법과 보존적 약물 치료로 신장 기능이 나빠지는 속도를 최소화해야 한다. 만약 악...2024.11.05
-
당뇨병성 신증2024.11.041. 당뇨병성 신증 1.1. 정의 당뇨병이 오랫동안 지속되면 신체의 작은 혈관들이 손상된다. 신장의 혈관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신장의 구성하는 기관 중 혈액 여과를 담당하고 있는 사구체가 손상되면서 단백뇨가 나타나고, 이로 인해 신장 기능이 저하되는데, 이를 당뇨병성 신장질환이라고 한다. 당뇨병성 신장질환은 새로 투석을 시작하는 환자들의 원인 질환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당뇨 발병 시점이 분명하지 않은 대부분의 성인 환자에게서는 드러나는 질병 양상이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으며, 개개인의 혈당 조절, 혈압 조절 등 관리에...2024.11.04
-
혈액투석방법2024.10.311. 혈액 투석 1.1. 정의 혈액 투석(hemodialysis)은 만성 콩팥병이 진행하여 말기 신부전이 된 경우 신장 기능을 대체하기 위해 시행하는 투석 요법의 하나이다. 이는 환자의 혈액을 체외로 빼내어 투석기에 순환시키면서 혈액 속 노폐물과 과잉 수분을 제거하고 다시 체내로 돌려주는 치료법이다. 혈액 투석을 통해 혈액 내 단백질 최종 대사산물과 체내 과잉수분을 제거하여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을 조절하고, 요독 증상을 완화시키며 고혈압 조절 및 빈혈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혈액 투석은 인공 신장실에서 1회당 약 ...2024.10.31
-
복막투석위한 도관삽입2024.10.311. 신장의 구조와 기능 1.1. 신장의 위치 및 구조 신장은 좌, 우에 하나씩 두 개(각각 약 100~130g 정도)가 있으며 피질과 수질로 구성되어있고, 등쪽 갈비뼈의 가장 밑부분에 싸여서 척추의 양 옆으로 위치한다. 크기는 자기 주먹만 하다. 신장의 기본 단위는 신원(nephron)이라하며, 한 쪽 신장에 약 100만개의 네프론이 들어있다. 네프론은 사구체와 보먼주머니로 구성된 신소체로 되어있다. 1.2. 신장의 주요 기능 1.2.1. 노폐물 제거 신장은 체내 대사과정에서 발생한 요소(urea), 요산(uric acid),...2024.10.31
-
투석환자 칼슘인2024.10.151. 급성신손상의 병태생리 1.1. 급성신손상의 정의 및 특징 급성신손상은 콩팥기능의 급격한 저하로 콩팥에서 정상적으로 배설되어야 하는 질소 대사물이 저류되고,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이 저해되어 세포외 수분용적과 전해질 및 산 염기 평형의 장애가 일어나는 상태를 말한다. 토리여과율(GFR)이 감소되어 혈청 크레아티닌이나 혈액요소질소(BUN)의 혈중농도가 증가되는 것이 특징이며, 소변량 감소가 동반되기도 한다. 급성신손상의 정도와 환자의 예후가 관계가 있음이 알려지면서 혈청 크레아티닌의 상승 및 소변량 감소의 정도에 따라 급성신손상의...2024.10.15
-
배뇨장애2024.11.201. 신장(Kidney)의 해부·생리 1.1. 구조 신장은 한 쌍의 후복막장기로서 제 12흉추에서 제 3요추에 걸쳐 척추 좌우에 위치하는 완두콩 모양의 장기이다. 우신이 간 옆에 있어서 좌신보다 약간 낮게 위치하고 있으며 12번째 늑골의 높이에 있다. 각 신장의 무게는 115-175g 정도이다. 신장의 크기는 길이가 약 12cm, 폭이 5-7.5cm, 두께가 약 2.5cm 된다. 각 신장 주변에는 지방과 결합조직이 있어서 신장을 지지하고 외부충격을 흡수해 신장을 보호한다. 신장 내측에 움푹 들어간 곳을 신문(hilus)이라 하며...2024.11.20
-
성인간호 혈액투석 원리 분석2025.01.211. 서론 1.1. 혈액투석의 정의와 목적 혈액 투석이란 환자의 혈액을 몸 밖으로 빼내어 기계와 투석기를 이용해 노폐물과 과잉 수분을 제거해 주는 치료 방법이다. 이는 가장 보편적이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는 신 대체요법이다. 일반적으로 혈액 투석 치료는 일주일에 3차례, 한 차례 당 4시간씩 받게 되며, 환자의 남아있는 신기능 및 환자 상태를 고려하여 투석 시간 및 횟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이 투석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동정맥루 성형술'이 필요한데 이는 팔의 동맥과 정맥을 연결해 주는 작은 수술을 통해 정맥을 확장시키는...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