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투석환자 칼슘인2024.10.151. 급성신손상의 병태생리 1.1. 급성신손상의 정의 및 특징 급성신손상은 콩팥기능의 급격한 저하로 콩팥에서 정상적으로 배설되어야 하는 질소 대사물이 저류되고,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이 저해되어 세포외 수분용적과 전해질 및 산 염기 평형의 장애가 일어나는 상태를 말한다. 토리여과율(GFR)이 감소되어 혈청 크레아티닌이나 혈액요소질소(BUN)의 혈중농도가 증가되는 것이 특징이며, 소변량 감소가 동반되기도 한다. 급성신손상의 정도와 환자의 예후가 관계가 있음이 알려지면서 혈청 크레아티닌의 상승 및 소변량 감소의 정도에 따라 급성신손상의...2024.10.15
-
혈액투석방법2024.10.311. 혈액 투석 1.1. 정의 혈액 투석(hemodialysis)은 만성 콩팥병이 진행하여 말기 신부전이 된 경우 신장 기능을 대체하기 위해 시행하는 투석 요법의 하나이다. 이는 환자의 혈액을 체외로 빼내어 투석기에 순환시키면서 혈액 속 노폐물과 과잉 수분을 제거하고 다시 체내로 돌려주는 치료법이다. 혈액 투석을 통해 혈액 내 단백질 최종 대사산물과 체내 과잉수분을 제거하여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을 조절하고, 요독 증상을 완화시키며 고혈압 조절 및 빈혈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혈액 투석은 인공 신장실에서 1회당 약 ...2024.10.31
-
인공신장실 질관리2024.11.051. 혈액투석 1.1. 만성 신부전의 병리 만성 신부전의 병리는 다음과 같다. 만성 신부전은 신장 기능이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나빠져서 원래 상태로 호전되지 않는 상태이다. 만성 신부전의 원인 질환으로는 빈도 순으로 당뇨병, 고혈압, 사구체 질환, 원인 불명, 다낭성 신질환 등이 있다. 노령층에서는 원인 질환이 신장 경화증, 당뇨병, 세뇨관 간질성 신염, 폐쇄성 요로병증, 사구체 질환, 다낭성 질환의 순으로 약간 바뀐다. 만성 신부전에서는 식이 요법과 보존적 약물 치료로 신장 기능이 나빠지는 속도를 최소화해야 한다. 만약 악...2024.11.05
-
성인간호 혈액투석 원리 분석2025.01.211. 서론 1.1. 혈액투석의 정의와 목적 혈액 투석이란 환자의 혈액을 몸 밖으로 빼내어 기계와 투석기를 이용해 노폐물과 과잉 수분을 제거해 주는 치료 방법이다. 이는 가장 보편적이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는 신 대체요법이다. 일반적으로 혈액 투석 치료는 일주일에 3차례, 한 차례 당 4시간씩 받게 되며, 환자의 남아있는 신기능 및 환자 상태를 고려하여 투석 시간 및 횟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이 투석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동정맥루 성형술'이 필요한데 이는 팔의 동맥과 정맥을 연결해 주는 작은 수술을 통해 정맥을 확장시키는...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