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7개
-
급성통증2024.09.121. 간호진단: 급성통증 1.1. NANDA 정의 급성통증은 "실제적 혹은 잠재적 조직손상으로 인해 경험하는 감각적 또는 정서적 불편감이 갑자기 또는 서서히, 경증에서 중증강도로 지속하거나 예측 가능한 3개월 미만의 기간 동안 지속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1.2. 간호 사정 1.2.1. 주관적 자료 대상자의 주관적 자료를 살펴보면 "너무 아파요", "계속해서 쿡쿡 쑤시는 것 같아요", "진통제 좀 빨리 놔주세요", "진짜 아파서 움직이지도 못하겠어요", "머리가 지끈거리고 쑤시는 거 같아요", "여기 배가 너무 아파요", "아...2024.09.12
-
분만1기 시나리오2024.09.111. 분만 1기 간호 1.1. 시나리오 상황 24세의 초임부인 강OO님은 임신 40주로 병원방문 5시간 전부터 10분 간격으로 Labor pain이 있어오다가 10분 간격으로 점차 자궁수축의 빈도가 증가하고 자궁수축의 강도가 강해지면서 병원을 찾았다. 초음파와 기본검사 및 사정을 통해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확인한 후 입원 결정되었고, half shavihg, enema 등 분만을 위한 입원준비를 마치고 진통실로 안내한 후 Fetal monitoring을 준비한다"는 것이다. 1.2. 간호과정 1.2.1. 간호진단 1: 자궁수축,...2024.09.11
-
근거기반간호 문제를 만들어줘2024.10.111. 근거기반 간호 1.1. 근거기반 간호의 개념과 이점 근거기반 간호는 최상의 근거를 기반으로 의료진의 전문성과 대상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간호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근거기반 간호는 간호업무를 표준화하여 간호의 수준을 높이고 간호사의 업무 효율을 증진시킨다. 최상의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대상자에게 간호를 수행하게 되어 간호사의 오류를 줄여줄 수 있다. 병원 측면에서는 불필요한 인력, 자원을 소비하지 않을 수 있어 근거기반 간호는 점차 필수로 여겨지고 있다. 대상자의 입장에서는 최상의 과학적인 근거가 바탕인 간호를 제공받을...2024.10.11
-
정형외과 뼈2024.10.221. 골절의 정의 및 분류 1.1. 골절의 정의 골절이란 뼈나 골단판 또는 관절면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를 말한다. 대개의 경우 외부의 힘에 의하여 발생하게 된다. 골절은 어린이들이 칼슘침착이 덜 되어 뼈가 약하고 노인, 특히 폐경기가 지난 여자들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뼈가 약해지는 골다공증이 생긴다는 두 가지 경우에서 특히 잘 발생한다"라고 할 수 있다. 1.2. 상처 상태에 따른 분류 상처 상태에 따른 분류에 의하면 골절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개방(복합)골절(open or c...2024.10.22
-
신생아 중환자 pico2024.10.221. 신생아 통증 관련 비약물적 중재법 효과 1.1. 서론 실제로 거의 모든 신생아에게 각종 검사와 예방접종 등 수많은 약물적 수행(침습적인 절차)이 이루어지는데 신생아도 통증을 지각할 수 있고, 통각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기 때문에 신생아의 통증 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약물적 통증 중재법, 비약물적 통증 중재법의 효과 정도에 대해 알아보고 싶었다. 1.2. 약물적 통증 중재법 1.2.1. 국소마취크림 적용 효과 신생아의 정맥천자 시 통증 완화를 위해 국소마취크림(EMLA 크림)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2024.10.22
-
급성 위궤양2024.09.25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대인이 가장 많이 앓고 있는 흔한 질병 중 하나가 위궤양이다. 하지만 대부분 위궤양을 가볍게 여기고 넘어가 결국 큰 병으로까지 진전되어 문제이다. 위궤양은 주로 H.Pylori균에 의해 감염돼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외에도 지나친 음주와 흡연 그리고 정신적 스트레스가 원인으로 작용한다. 위궤양이 진전되면 장출혈, 토혈, 흑색변, 빈혈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현대인들이 가볍게 여기지만 결코 가벼운 질병이 아닌 위궤양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공부해 보고 응급상황에서...2024.09.25
-
거북목 회복을 위한 수기요법및 운동요법2024.11.141. 거북목 회복을 위한 수기요법 및 운동요법 1.1. 서론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 이후 사람들이 어디서나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되면서, 휴식시간은 물론이고 길을 걸을 때도 앞을 보지 않고 스마트폰을 본 자세로 보행하여 행인끼리의 부딪힘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스마트폰을 보기 위해 폰을 손에 들고 대체로 고개를 숙이는 자세를 취하기 마련이다. 고개를 숙이고 있는 자세는 경추와 척추에 무리를 주며, 장기간 이러한 자세를 취하게 되면 배열이 틀어져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경추는 우리 몸에서 머리를 지탱하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2024.11.14
-
Kolcaba2024.11.081. 간호 이론의 발달개요 1.1. 과학의 정의 및 특성 과학은 관찰, 식별, 기술, 실험적 조사 및 현상에 대한 이론적 설명이다"이다. 과학은 일정한 인식목적과 합리적인 방법에 의해 세워진 광범위한 체계적 지식으로서 5가지를 제공한다. 첫째, 분류(typology)를 제공한다. 둘째, 예측(predictions)을 가능하게 한다. 셋째, 설명(explanation)을 제공한다. 넷째, 이해(a sense of understanding)를 돕는다. 다섯째, 잠재적 통제(potential for control)를 가능하게 한다"이다...2024.11.08
-
Pca 간호2024.12.011. 서론 오늘날 의료기술의 발전 및 생명연장에 대한 기대의 증가로 수술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수술환자의 증가와 더불어 이들의 수술 후 회복과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간호는 오늘날 수술환자 간호의 주요 관심분야가 되고 있다. 통증은 실질적인 또는 잠재적인 조직 손상이나 이러한 손상에 관련하여 표현되는 감각적이고 감정적인 불유쾌한 경험이다(The Korean Pain Society, 2000). 수술 후 통증은 잘 조절되지 않는 경우 신체상태 악화, 심리적 불편감 유발, 만성통증으로 발전하는 등 환자의 회복을 지연시킬 뿐만 ...2024.12.01
-
필라테스2024.10.301. 필라테스란 무엇인가 1.1. 필라테스의 정의 필라테스는 1883년 독일에서 태어난 조셉 필라테스가 개발한 근육 강화 운동이다. 필라테스는 몸의 긴장을 풀어 몸을 유연하고 균형있게 만들어 주고, 잘못된 자세를 바로잡아 주며, 신체의 다양한 근육을 강화시키는 동시에 부드럽게 만드는 운동법이다. 조셉 필라테스는 근육의 올바른 사용을 통하여 신체와 정신, 영혼의 조화를 이루고자 하였다. 필라테스에서 일어나는 모든 움직임은 신체와 정신을 통한 집중을 요구하며, 항상 파워하우스로 불리는 중심근육에 집중하면서 깊은 호흡에 의해 이루어진다...2024.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