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개
-
스털링 엔진의 효율 측정2024.09.121. 스털링 엔진의 실험적 연구 1.1. 실험 목적 및 내용 스털링엔진의 구조와 작동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이 실험의 주된 목적이다. 특히 스털링엔진 회전축의 토크와 파워를 구하고, 실험에서 얻은 값들을 이용하여 스털링엔진의 효율을 계산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실험에서는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스털링엔진 회전축의 토크와 힘을 측정하였다. 첫째, 회전축에 브레이크 장치를 만들어 물체에 부하를 주는 방식으로 토크와 힘을 계산하였다. 둘째, 물체를 일정 높이까지 들어 올리는데 걸리는 시간을 이용하여 힘을 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2024.09.12
-
동역학 요점2024.09.261. 운동의 기본 원리 1.1. 일과 운동 에너지 일(W)은 물체에 힘을 가해 물체를 일정한 거리만큼 움직이게 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로, 힘과 변위의 곱으로 정의된다. 즉, W = F × s이다. 여기서 F는 물체에 작용하는 힘이고, s는 물체가 이동한 거리이다. 일은 운동에너지의 변화량을 의미한다. 운동에너지(KE)는 물체의 운동 상태에 의해 결정되는 에너지로, KE = 1/2mv^2 공식으로 계산된다. 여기서 m은 물체의 질량이고, v는 물체의 속도이다. 운동에너지는 물체의 질량과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한편, 물체가 위...2024.09.26
-
가변속 발전기2024.10.071. 유도기-동기기 MG세트의 3상 인버터 구동 실험 1.1. 개요 3상 인버터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제품을 사용해봄으로써 인버터를 이용한 AC전동기 속도 제어방법을 이해하고 다양한 활용 사례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유도기-동기기 MG세트의 3상 인버터 구동 실험을 수행하여 인버터의 원리와 기능, 그리고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 방법에 대해 실습할 수 있다. 이 실험은 전력전자 기술의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실제 산업현장에서 많이 활용되는 인버터 기술을 경험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1.2. 관련이론 ...2024.10.07
-
a1 pully2024.10.291. 회전관성 1.1. 실험 목적 실험의 목적은 물체를 회전시키고 각가속도를 측정한 후 각 물체의 회전관성을 계산해보는 것이다."" 1.2. 이론 및 원리 회전관성은 물체가 회전운동을 유지하려는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관성 모멘트 I라고도 한다. 회전관성은 회전체의 질량이 회전축에 대하여 어떻게 분포하고 있는지 알려준다. 특정한 회전축에 대하여 강체의 회전관성은 일정한 값을 가진다. 이때 I의 값이 의미가 있으려면 어떤 축에 대한 값인지 명시되어야 한다. 회전관성은 물체가 외부의 토크에 대한 민감도를 나타낸다. 여러 입자가...2024.10.29
-
자이로스코프 수2 적분 원리2024.10.201. 자이로스코프의 이해 1.1. 실험 목적 자이로스코프의 실험 목적은 자이로스코프를 통해 강체의 회전운동을 이해하고, 회전하는 물체의 세차운동과 장동운동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다. 자이로스코프는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체가 그 자체의 회전축인 로터축과 이에 직교하는 수평축, 수직축을 각각 축으로 하여 3축의 주위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장치이다. 이러한 자이로스코프의 특성을 활용하여 회전하는 물체의 세차운동과 장동운동을 이해하고자 한다. 실험을 통해 자이로스코프의 관성모멘트 측정, 세차운동 관찰, 장동운동과...2024.10.20
-
3단 변속 시스템2024.10.191. 자동차 엔진 1.1. 엔진의 종류 1.1.1. 가솔린 엔진 가솔린 엔진은 불꽃 점화기관이라고도 하며, 공기와 연료의 혼합기가 실린더 내부로 들어가고 이 혼합기가 피스톤에 의해 압축된다. 압축된 혼합기에 의해 스파크를 일으키면 가스가 폭발하게 되고 폭발한 힘에 의해 피스톤은 내려가게 된다. 내려갔던 피스톤이 다시 올라오면서 연소된 가스를 배출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러한 피스톤의 상하 반복운동을 커넥팅 로드와 크랭크 축에 의해 회전운동으로 전환하여 엔진이 작동하게 된다. 가솔린 엔진은 불꽃 점화 방식을 사용하므로 점화...2024.10.19
-
부산대 응용전기전자실험 직류 전동기 결과보고서2024.10.101. 직류 분권 전동기 1.1. 직류 분권 전동기의 토크와 속도에 관한 실습 직류 분권 전동기의 토크와 속도에 관한 실습은 직류 분권 전동기의 특성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권 전동기에서 계자권선은 전기자권선과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 계자전류는 전동기 속도의 변화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에 따라 전기자에 흐르는 전류만이 토크를 결정하게 되므로, 부하 변화에 따른 속도 변화가 크지 않은 편이다. 실습에서는 먼저 회로를 구성하여 전원 공급 장치, 직류 전동기/발전기, 직류전압 전류계, 전기동력계를 연결하였다. 이...2024.10.10
-
물리치료와 수학연계2024.11.101. 근육과 관절의 힘 및 토크 활용 1.1. 근육과 관절의 힘 구하기 근육과 관절의 힘 구하기는 토크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책을 들고 있는 팔과 유사한 지레 시스템의 도식도를 분석하면 전형적인 근육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알 수 있다. 근육은 수축과 이완이 동시에 일어나는데, 팔에서 이두근이 수축하면 삼두근은 확장된다. 이는 척추동물의 골격근, 뼈, 관절의 일반적인 구조이다. 대부분의 골격근은 신체 밖으로 작용하는 힘보다 안쪽으로 작용하는 힘이 더 크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근육이 관절에 가까운 힘줄을 통해 뼈에 부착되어 있기 ...2024.11.10
-
감속기 설계2024.11.261. 감속기의 설계 1.1. 기어의 잇수 결정 감속비 ε은 기어의 회전비와 잇수비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ε = {N_2} over {N_1} * {N_4} over {N_3} = {Z_1} over {Z_2} * {Z_3} over {Z_4}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감속비 ε은 {1} over {12}이고, 피니언의 잇수 Z_1은 24개로 주어졌다. 따라서 기어의 잇수를 다음과 같이 결정할 수 있다. 먼저, ε = {1} over {4} * {1} over {3}이므로 {Z_1} over {Z_2} = {1} ove...2024.11.26
-
MOTOR 종류2024.08.311. 모터의 종류와 원리 1.1. 모터의 동작 원리 1.1.1. 3상 교류 모터의 동작 원리 3상 교류 모터의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축에 자석을 고정시켜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N극을 점선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축에 붙어 있는 자석의 S극이 밖에서 회전하고 있는 N극에 흡인되어 N극을 따라서 회전하기 때문에 축도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교류를 이용한 유도 모터는 모두 이와 같은 원리로 회전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어떠한 방법으로 회전자계(N극이 도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느냐 하는 것이다. ...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