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개
-
일제의 식민통치2024.09.231. 서론 '일제 식민통치의 성격과 영향'은 일제강점기 한국 역사에 대한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주제이다. 해방 이후 역사학계에서는 '식민사관'을 극복하는 것이 주요 과제 중 하나였는데, 이에 따라 1970년대에는 '내재적 발전론'이 주류로 등장하였다. 이후 1980년대 후반 경제사학계에서는 '식민지 수탈론'을 비판하며 '식민지 근대화론'을 제기하였다. 1990년대 후반에 전개된 '식민지 근대화 논쟁'은 양측의 시각이 확연히 다른 모습을 드러내었다. 양측의 학자들은 일제의 통치가 조선 민중의 의사에 반해 강제적으로 행해지고, ...2024.09.23
-
식민지 근대화론 논쟁 찬반 분석2024.10.231. 식민지 근대화론과 그에 대한 논쟁 1.1. 식민지 근대화론의 주요 논점 1.1.1. 식민지 이전 한국의 전근대적 사회 규정 식민지 이전 한국의 전근대적 사회는 결부제의 존속으로 토지공유제와 다원적 토지소유가 형성되어 있었다. 근대적 토지제도인 토지사유권과 토지사유제도가 확립되지 않았던 것이다. 조선 왕조 시대에 이미 토지사유권과 토지사유제도가 확립되어 있었으며, 개항 이전에 완전히 완비되었다. 그러나 일제의 토지조사사업은 이미 수백 년 전부터 확립되어 있던 토지사유권과 토지사유제도를 일본의 양식으로 재확인하고 재법인화한 것...2024.10.23
-
식민지근대화론 찬성2024.10.111. 식민지 근대화론의 논쟁 1.1. 식민지 근대화론의 주요 논점 식민지 근대화론의 주요 논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식민지 근대화론은 식민지 이전의 한국 사회를 전근대적 전통사회 혹은 비자본주의 사회로 규정하고, 한국사회가 식민지 지배를 통해 비로소 자본주의사회가 되었다고 본다. 그 근거로는 1910년의 토지조사사업으로 토지에서의 사적 소유권이 제도화된 점, 1930년대에 전개된 일제의 중공업정책, 농업부문에서의 이농과 식민지 공업화 정책으로 자유 임노동자 층이 확대 재생산된 점, 일제 강점기의 경제상에서 수탈이란 용어만으로 ...2024.10.11
-
싸강 족보2024.10.161. 벼의 기원과 한국으로의 전파 1.1. 벼의 기원 벼의 기원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가장 유력한 벼의 기원설은 인도 아삼 지역을 중심으로 미얀마, 라오스, 중국 윈난성 일대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이 지역에서 벼농사가 약 1만 년~6500년 전부터 시작되었고, 이후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재배종의 근연종인 야생벼 중에서 아시아형이 널리 재배되었고, 이 아시아형 야생벼로부터 1년생의 재배벼가 생겨났다. 아삼·윈난 지역에서 발생한 이들 아시아형 야생벼가 양자강을 따라 중국 화중 지역...2024.10.16
-
서울지방국토관리청2024.10.101. 국토교통부 1.1. 국토교통부의 주요 업무와 기능 국토교통부는 국토의 체계적인 개발과 보존, 교통물류체계 구축 등의 사무를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이다. 1948년 설치된 교통부와 1955년 설치된 부흥부를 모체로 하며, 1962년 건설부로 개편되었고, 1994년 건설부와 교통부가 통합되어 건설교통부로 개편되었다. 2008년에는 건설교통부와 폐지된 해양수산부의 해양 관련 업무, 행정자치부의 지적 업무를 통합하여 국토해양부로 개편되었다. 2013년 박근혜정부 출범과 함께 해양 업무를 재설치된 해양수산부로 이관하고 국토교통부로 개편...2024.10.10
-
음식과 세계문화 족보2024.10.081. 근대화와 식생활의 변화 1.1. 일제강점기 식품 관련법 정비와 사회변화 1.1.1. 식품위생법 정비와 육류 소비 관행 선진국에서는 19세기 이후 근대산업의 발전과 함께 가공 식재료나 식품첨가물, 포장기술이 발달하게 되자 식품으로 인한 위생상 위해방지와 국민건강 향상 및 증진을 목적으로 한 식품위생법의 법제화가 추진되었다. 우리나라보다 한발 앞서 서구의 근대문물과 제도를 받아들이면서 보다 진보된 근대국가를 꿈꾸었던 일본의 경우, 영국·미국·독일의 선진 위생제도를 바탕으로 식품위생 관련 규정을 마련하였는데, 이것이 한일병합을 ...2024.10.08
-
음식과 세계문화 족보2024.10.131. 근대 식생활의 변화 1.1. 일제강점기 식품 관련법 정비와 사회변화 1.1.1. 식품위생법 정비와 육류 소비 관행 일제강점기 식품 관련법 정비와 육류 소비 관행은 다음과 같다. 선진국에서는 19세기 이후 근대산업의 발전과 함께 가공 식재료나 식품첨가물, 포장기술이 발달하게 되자 식품으로 인한 위생상 위해방지와 국민건강 향상 및 증진을 목적으로 한 식품위생법의 법제화가 추진되었다. 일본의 경우, 영국·미국·독일의 선진 위생제도를 바탕으로 식품위생 관련 규정을 마련하였는데, 이것이 한일병합을 전후로 한반도에 이식되었다. 결...2024.10.13
-
내용증명 불법경작2024.10.151. 농민운동의 개념과 역사적 배경 1.1. 농민운동의 발생 근거 1.1.1. 한국의 농민운동 근대사회가 태동하면서 양반봉건제도가 무너지자 농민들은 봉건적 모순을 자각하게 되었고, 이에 개혁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했다. 이것이 한국 농민운동의 출발이다. 한국 농민운동은 동학과 민란이 합류하면서 동학농민혁명운동으로 시작되었다. 동학농민혁명운동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일본군이 개입하여 농민혁명군을 탄압하자 혁명운동은 혁명전쟁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이후 일본제국주의의 침략이 심화되면서 농민운동은 제국주의 침략에 대한 항전의 성격으로 변질되었...2024.10.15
-
사유지불법경작 내용증명2024.10.151. 일제의 조선 토지조사사업 1.1. 토지조사사업의 목적과 계획 일제는 1905년 을사조약 체결 이후 한국을 식민지로 강점하였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식민지 정책을 시행하였다. 그중에서도 "토지조사사업"은 일제가 1910년 한국을 완전히 식민지화하기 위해 실시한 첫 번째 정책이었다. 토지조사사업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 자본의 토지 점유에 적합한 토지소유 증명제도를 확립하기 위함이었다. 일제는 토지소유권에 대해 지주의 권리만을 인정하고 농민의 각종 권리는 배제하여, 토지 매매와 등기제도를 통해 일본 자본의 토지...2024.10.15
-
일제시기 식민지배 정책2024.12.071. 일본의 한반도 식민정책 1.1. 일본의 한반도 식민정책의 핵심 내용 일본의 한반도 식민정책의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메이지 시대 일본은 부국강병 정책 하에 한국을 침략했다. 일본은 한국의 토지와 자원, 인구 등을 철저히 조사하며 통치의 기반을 다졌는데, 이를 '토지조사사업'이라 한다. 토지조사사업을 통해 많은 땅을 확보한 일본은 '동양척식 주식회사'를 설립하고 '산미증식계획'을 시행하여 한국의 토지와 자원을 약탈했다. 또한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의 경제성장과 식량 부족으로 인해 한국에서 쌀을 대량으로 반출하기 ...2024.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