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다산정약용 참여수기2024.10.161.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 1.1. 다산 정약용의 생애 다산 정약용의 생애는 크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1800년 이전까지로 학문을 닦고 관리의 길을 걸었던 시기이다. 이 시기에 다산은 10세 때부터 경서와 사서의 교육을 받기 시작했고, 16세 때 성호 이익의 저서를 읽으며 학문에 대한 뜻을 굳혔다. 22세에 진사에 합격하여 대학에 들어간 다산은 그의 재능과 학문이 인정되어 정조의 신임을 얻게 되었다. 두 번째 시기는 18년간의 유배 기간이다. 천주교에 대한 탄압 속에서 천주교 교인으로 지목받아 전라도 강진...2024.10.16
-
위화도 회군2024.11.041. 위화도 회군의 배경과 의의 1.1. 고려말 원 및 명과의 관계 고려말 원 및 명과의 관계는 매우 복잡하였다. 공민왕 시대에는 친원정책을 버리고 반원정책을 펼치면서 자주성을 확립하고자 하였으나, 공민왕의 사망 이후 강화된 보수 세력에 의해 친원정책이 다시 추구되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사건들은 고려와 명나라의 관계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다. 공민왕은 즉위와 동시에 고려가 자주국가임을 강력히 천명하며 반원정책을 펼쳤다. 원나라에 휘둘리던 고려의 내정을 장악하기 위해 원나라 세력인 기철, 권겸, 노책 등을 숙청하고, 원나...2024.11.04
-
신진사대부의 등장2024.11.181. 여말 선초의 신진사대부 1.1. 신진사대부의 등장과 분화 고려 후기 개혁정치의 추진은 아직 중앙 정계에 확고한 정치적 기반을 갖고 있지 못한 신흥관료(新興官僚)들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즉 향리(鄕吏)출신을 비롯한 한미한 가문출신 관료들이 개혁세력이 되어 개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정치적 영향력을 신장시키고 있었다. 이들은 세족(勢族)출신 사대부와는 달리 아직 문벌화(門閥化)하지 않은 가문배경의 소유자였으며, 특히 유교적 소양을 바탕으로 현실 비판적인 성향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들을 사대부 층의 한 갈...2024.11.18
-
연암 박지원 조사 및 재평가2025.05.311. 서론 1.1. 연암 박지원의 생애와 업적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은 영조 13년인 1737년에 서울의 서소문 밖 반송방(盤松防) 야동(冶洞)에서 아버지 박사유(朴師愈)와 어머니 이창원(李昌遠) 사이에서 태어났다. 외롭게 자랐던 박지원은 16세 때 전주 이씨(全州李氏) 이보천(李輔天)의 딸과 혼인하였고, 맹자(孟子)를 중심으로 학문을 정진하였다. 이후 이양천(李亮天)에게서 사기(史記)를 비롯한 다양한 역사 서적을 통해 문장 쓰는 법을 익혔다. 1760년 할아버지 박필균이 세상을 떠나면서 더욱 궁핍한 생활을 하게 ...2025.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