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살기좋은도시프로젝트2024.09.131. 도시와 도시의 문제 1.1. 도시의 정의와 특성 도시란 행정 사회적인 의미를 갖고 있는 都(도)와 시장 및 경제적인 의미를 갖고 있는 市(시)의 뜻을 갖고 있으며, 일정한 지역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이 되는 사람들이 모여 사는 지역을 의미한다. 초기의 도시는 최소한의 기능만을 갖고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러한 최소한의 기능과 편의를 찾아 도시에 인구가 모이고 규모가 커지면서 더 많은 기능을 갖춘 도시로 진화해 가고 있다. 성장 중심의 경제 개발로 인해 1970년대에 도시화가 시작된 이후 처음으로 도시지역 인구 비율이 전체...2024.09.13
-
도시기본계획 평가2024.11.041. 도시계획 개요 1.1. 도시계획의 정의와 발전 도시계획은 도시의 토지이용과 공간의존적인 도시의 사회경제적인 활동들과 관련된 정책의 결정과 이러한 결정의 집행을 위한 세부적인 계획을 의미한다. 도시계획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을 때에는 토지이용도의 개념이나 물리적인 계획만을 포함하는 단어였으나, 현재에는 사회경제적인 계획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한국에서의 도시계획은 1960년대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는데, 도시계획을 설립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낀 정부가 1959년 국토계획학회의 창립을 계기로 추진되었다. 1962...2024.11.04
-
지상경계를 정하는5가지기준2024.10.161. 토지의 용도지역과 토지이음정보 활용 1.1. 용도지역이란 용도지역이란 토지를 이용하거나 건축물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용도와 건폐율, 용적률, 높이 등을 제한해서 토지를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도 토지의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정부에서 도시관리계획으로 일정한 지역을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건폐율이란 대지 면적에 대한 건축면적 비율을 의미하며, 용적률은 대지면적에 대해 지하층을 제외하고 지상층을 지을 수 있는 면적의 합계 비율을 말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용도지역을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등 크게...2024.10.16
-
풍수지리2024.10.121. 풍수지리의 이해 1.1. 풍수지리의 개념과 특징 풍수지리는 동아시아에서 발달한 고유의 지리사상으로, 자연환경을 바라보는 독특한 관점을 내포하고 있다. 풍수지리의 개념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풍수지리는 하늘과 땅의 자연현상을 합리적으로 이해하여 인간의 발전과 행복을 추구하는 학문이다. 자연환경을 보존하면서도 국토이용의 합리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자연과 조화된 균형 있는 개발로 인간의 안전과 편리를 도모한다. 즉,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공생을 목표로 한다. 둘째, 풍수지리는 동양의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한 독특한 ...2024.10.12
-
지구단위계획 사례2024.11.181. 서론 1.1. 지구단위계획의 개념 지구단위계획은 도시계획수립대상지역 안의 일부에 대하여 수립하는 도시관리계획으로, 토지이용을 합리화하고 그 기능을 증진시키며 미관을 개선하고 양호한 환경을 확보하며, 당해 지역을 체계적·계획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수립된다. 지구단위계획은 계획수립 시점으로부터 10년 내외의 기간동안에 나타날 여건변화를 고려하여 지구단위계획구역과 주변의 미래상을 상정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계획이다. 지구단위계획은 구역내 용도지역지구 계획과 도시기반시설 계획, 건축물의 규모와 형태, 미관, 경관계획 등의 ...2024.11.18
-
도시계획사2024.12.071. 서양 도시계획의 역사 1.1. 고대도시 1.1.1.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메소포타미아의 도시는 B.C. 3500년경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의 델타 지역에서 '수메르(Sumer)인'에 의해 최초로 형성되었다. 대부분의 메소포타미아 도시들은 자연발생적으로 성장하였으며, 성벽 내부는 유기적인 물리적 환경이 조성되었다. 성벽의 중심에는 신전과 궁전이 위치하였고, 주변으로 주택들이 배치된 형태였다.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는 천문과 기상이 발달하였는데, 이는 당시 메소포타미아인들이 현세적 열망과 내세적 동경을 표상하는 지구라트(Zig...2024.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