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공학윤리 사례2025.06.131. 개념 및 쟁점 1.1. 사건 개요 2001년 용산미군기지에서 유류가 누출되어 인근 녹사평역 일대 지하수와 토양이 심각하게 오염되었다. 서울시가 유류 유출 원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용산미군기지에서 누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2003년 12월 한-미간 '녹사평역 유류오염 관련 한-미 공동합의문'을 발표하였다. 주요 내용은 기지 외부 오염은 서울시가, 기지 내부 오염은 미군이 책임지기로 하고 서울시가 부담한 정화비용을 미군에게 배상받기로 한 것이다. 서울시는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총 750톤의 지하수를 양수하여 ...2025.06.13
-
토양환경보전법2025.05.121. 토양환경보전법 개요 1.1. 토양환경보전법의 정의와 목적 토양환경보전법은 토양오염으로 인한 국민건강 및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하고,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등 토양을 적정하게 관리·보전함으로써 토양생태계를 보전하고, 자원으로서의 토양가치를 높이며, 모든 국민이 건강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토양오염은 사람의 활동에 의하여 토양이 오염되어 사람의 건강·재산이나 환경에 피해를 주는 상태이고, 토양오염물질은 토양오염의 원인이 되는 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한 물질이다.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은 토양오염물질을 생...2025.05.12
-
토양환경보전법2025.05.121. 토양환경보전법의 변천 1.1. 토양환경보전법의 변화 환경보전법(1977.12 제정)에서 토양오염방지규정이 최초로 포함되었으며, 이 법에서는 토양오염이 환경오염의 하나로 토양보호의 중요성을 선언적으로 나타냈다. 그 후 수질환경보전법(1990. 8 제정)에서 농경지 오염방지, 농수산물의 재배 제한, 농약잔류허용기준 등 관련조항이 있었지만 주로 농경지에 한정되었다. 그러나 토양오염은 점차 금속광산 주변 농경지뿐 아니라 공장/산업지역, 비위생폐기물 종료매립지, 유독물질 지하저장시설 등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지역으로 확대되고 있었다. ...2025.05.12
-
토양환경보전법2025.05.121. 토양환경보전법의 변천 1.1. 토양환경보전법의 변화 토양환경보전법은 1995년 1월 5일 법률 제4906호로 제정되었다. 토양오염물질의 사용량 증가와 폐기물 매립지 등 토양오염 유발시설에 의한 토양오염의 요인이 계속 증가하고 있었으며, 금속광산 지역 등의 토양오염이 심화되고 있었다. 그러나 개별 법률에서 단편적으로 토양오염을 규제하는 것만으로는 효과적인 대처가 어려웠기 때문에, 토양오염의 사전예방 및 오염된 토양의 개선 등에 관한 종합적인 관리체제를 마련함으로써 토양보전을 보다 체계적이고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토양환경보전...2025.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