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인체해부학2024.10.211. 인체 순환계의 특징 1.1. 태아 순환의 특성 태아 순환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태아가 폐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태아의 몸은 폐로 가는 혈액을 최대한 다른 방향으로 돌리기 위해 난원공과 동맥관이라는 두 가지 구조를 가지고 있다. 난원공은 좌심방과 우심방 사이에 존재하는데, 이로 인해 정상인의 경우 "우심방 → 우심실 → 폐"의 순서가 태아의 경우 우심실로 가야할 혈액이 난원공을 통해 일부 빠져나가 바로 좌심방에 다다르게 된다. 이로 인해 좌심방에 흘러들어온 혈액은 "좌심방 → 좌심실 → 대동맥 → 온몸"의 경로로 ...2024.10.21
-
간호 해부학2024.10.081. 태아순환의 특성 1.1. 태아 순환의 구조와 특징 태아 순환의 구조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태아 순환은 대부분의 정맥에 동맥혈, 동맥에 정맥혈이 흐르는 것이 두드러지는 차이이다. 태아는 태반을 통해 모체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으며, 동맥관과 난원공이 열려있다. 우심실의 박출량이 좌심실의 박출량보다 약 50%가 많아 태아에서는 우심방이 우세하다. 태아 폐의 세동맥은 중간층이 두껍고 내강이 좁으며, 저산소증이 이 폐혈관 수축을 조장한다. 태아의 체순환은 전체의 65%가 저항이 낮은 태반을 통과하기 때문에 저항이 낮다. 반면 저항이...2024.10.08
-
아동 발달단계별 섭취량 배설량 측정방법2024.11.211. 아동 간호 1.1. 아동의 신체 사정 1.1.1. 아동의 발달단계 별 신체사정 출생에서 6개월까지의 영아는 사람 얼굴에 반응하고 자신의 주변 환경에 흥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검진은 쉬운 편이며 아기가 부모 품에서 젖을 먹고 있거나 잠들어 있다면 아기를 깨우지 않고 심음과 폐음, 복부 청진을 하도록 한다. 아기가 깨어 있다고 하더라도 아기를 검진대에 누이거나 부모가 안고 있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검진할 수 있는 방법이다. 고관절검사와 고막검진을 위한 이경검사, 모로검사 등과 같은 편안하지 않은 검사들은 ...2024.11.21
-
심혈관계 아동2024.10.171. 심혈관기능장애 아동의 순환기 특성 1.1. 태아 순환 태아의 순환 과정은 태아의 초기 발달과 번영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태아 순환은 태아가 자궁 내에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태아의 순환 시스템은 태아의 기관 발달과 신체 성장을 지원하는 동시에 태아의 폐 순환 준비를 돕는다. 태아 순환의 주요 구조는 태반, 제대혈관(2개의 제대동맥, 1개의 제대정맥), 정맥관, 동맥관, 난원공이다. 태반은 산소와 영양분 공급을 담당하며 가장 낮은 혈관 저항을 보인다. 좌심실과 동맥관은 압력이 낮아 체순환 저...2024.10.17
-
태아 심장2024.09.011. 심장의 해부생리 1.1. 심장의 기능과 구조 심장은 우리 몸의 종격동 중앙, 횡격막 위에 존재하는 혈액 순환에 중심이 되는 기관으로, 여성의 경우 225g, 남성의 경우 310g 정도의 무게를 가진다. 심장은 종격동 중앙, 흉곽좌측에 위치하며 심첨은 가로막 위, 기저부는 3번째 갈비뼈에 위치한다. 심장의 형태를 살펴보면 좌측심장과 우측심장으로 나뉜다. 이들은 방실판막을 경계로 심방과 심실로 또 한번 나뉜다. 우심방은 대동맥과 심장정맥굴을 통해 정맥혈을 받아드리고 우심실은 폐동맥을 통해 폐로 혈액을 보내며, 좌심방은 폐정맥으로...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