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태아감시장치 그래프 분석2024.09.291. 생식세포 형성과 태아 발달 1.1. 생식세포의 발생과 성숙 난자의 발생과 성숙은 감수분열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난포세포가 세포분열을 거쳐 1차 난모세포가 되고, 출생 시 영아의 난소에 미숙한 상태로 존재한다. 이렇게 발생한 1차 난모세포는 사춘기에 성숙하여 2차 감수분열을 거치면서 23개의 염색체를 가진 난자가 된다. 난자는 성선자극 호르몬의 자극에 의해 난포가 성숙되어 배출되는데, 이 때 난자는 성숙하여 23개의 보통염색체와 1개의 X 성염색체를 갖게 된다. 배란 후 난자는 12~24시간 정도 생존할 수 있지만, 수정이...2024.09.29
-
융모양막염2024.11.051. 융모양막염 1.1. 정의 융모양막염(chorioamnionitis)은 임신한 임산부의 융모와 양막에 염증이 생긴 것을 말한다. 태아가 자라는 양수를 둘러싸고 있는 양막이 세균에 감염되면 태아의 조산과 사산, 신생아 패혈증과 폐 질환, 모체의 패혈증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융모양막염은 산부의 0.5~1% 정도, 조기파막 산부의 20%정도에서 발생한다. 융모양막염은 조기진통, 조산이나 조기 양막파수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양막파막이 오래 되거나 분만진통이 길어지는 경우에 자주 발생하며 산모 및 태아의 패혈증이 올 수도 있다. 1...2024.11.05
-
조기진통2024.08.13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현재 산과 영역에서 가장 많은 발전을 하였으면서도 더욱 발전을 해야 할 분야가 영아 이환 및 사망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조기분만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이르러 자궁 내 진단 방법의 발전, 각종 생화학 및 내분비 검사법의 향상, 분만 방법의 개선, 신생아 소생술의 발전 등 현대 의학의 눈부신 발전과 국가경제 개발에 의한 생활수준의 향상 및 산전관리에 관한 지식의 보급으로 저체중 출생아의 발생빈도가 감소되고 신생아 사망률의 감소를 가져오는 등 모성보건 분야의 큰 발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조기진통과...2024.08.13
-
여성 실습 케이스스터디2025.01.141. 서론 1.1. 유도분만의 정의 및 적응증 자연분만 진통이 시작되기 전에 화학적 혹은 물리적 방법으로 자궁수축을 유도하는 것이 유도분만이다. 원칙적으로 유도분만으로 인한 임부나 태아의 이득이 임신을 지속하는 경우의 위험성보다 큰 경우에 시행된다. 유도분만은 인위적으로 자궁경부를 부드럽게 하고, 자궁이 수축되도록 하여 진통을 유발해 자연분만과 같은 과정으로 분만이 진행된다. 유도분만의 주된 적응증은 임신성 고혈압, 자간전증, 자간증, 당뇨병, 양수과소증으로 인한 과숙아, 자궁 내 성장지연, 태아 성숙이 확인된 조기양막파수 등으로...2025.01.14
-
분만1기 문헌고찰2024.08.271. 분만 중 산모의 생리적 변화 1.1. 심혈관계 변화 분만 중 산모의 심혈관계 변화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심박출량, 맥박, 혈압 모두 증가한다. 심박출량은 분만 1기에 10~15% 증가하고, 분만 2기에는 30~50% 증가한다. 이러한 심박출량의 증가는 수축 때마다 자궁과 태반에 있는 혈액(300~500mL)이 모체의 혈관체계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혈압과 심박동도 자궁수축 시 증가한다. 혈압은 자궁수축 시 수축기혈압이 분만 1기에는 10mmHg, 분만 2기에는 30mmHg까지 상승한다. 맥박은 불안과 공포로...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