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모성간호학 문제2024.12.051. 임부의 건강사정 1.1. 임신 진단 및 기간 임신 진단 및 기간은 임부의 건강사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임신 진단은 마지막 월경일(LMP)과 첫 초음파검사로 추정되며, 분만예정일(estimated date of birth, EDB)은 이를 기반으로 계산한다. 네겔법칙은 분만예정일을 산출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마지막 월경일을 기준으로 "+1년, -3개월, +7일"을 더하여 계산한다. 임신기간은 마지막 월경 시기로부터 약 40주 혹은 280일, 수태 후 266일로 추정된다. 임신은 삼분기(trimester)로 구분되는데...2024.12.05
-
여성 자연분만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2024.11.01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분만실로의 실습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지키는 간호사의 역할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이다. 이번 실습을 통해 자연분만의 과정과 분만단계, 전구증상, 유도분만의 적응증 등에 대해 공부할 수 있었다. 특히 실제 분만단계와 태아사정을 관찰하고, 산모의 간호요구를 파악하며 간호중재를 수행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었다. 이번 실습을 통해 간호사로서 산모와 태아를 돌보는 방법을 익힐 수 있었고, 분만실에서의 역할과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산모와 태아를 돌...2024.11.01
-
임산부 산전 산후 관리2024.10.291. 모성간호학 실습 1.1. 산전관리 1.1.1. 임부의 변화 임부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자궁의 변화는 임신이 진행됨에 따라 끊임없이 나타난다. 임신 1기에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호르몬의 작용으로 자궁이 성장하여 크기가 60g에서 1,000g으로 증가한다. 자궁은 초기에는 서양배 모양에서 점차 공모양으로 변화하며, 임신이 진행됨에 따라 더 커지면서 난형이 된다. 자궁저부의 높이는 임신 7주에는 큰 달걀크기로 복부 촉진이 불가능하지만, 점차 올라가 임신 12주에는 자몽크기로 촉진이 가능해진다. 임신 22-24주에는 배꼽...2024.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