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리더라면 정조처럼2024.10.311. 정조의 리더십 1.1. 정조의 일대기 정조(正祖)는 조선 왕조의 제22대 국왕으로, 1776년에 25세의 나이로 즉위하여 1800년에 49세의 나이로 승하하였다. 재위 기간 동안 많은 업적을 남긴 개혁 군주로 평가받고 있다. 정조는 조부 영조와 부친 사도세자 사이에서 태어났다. 영조는 조선 왕조의 21대 국왕으로서 장기 통치를 하며 왕권을 강화하였고, 사도세자는 영조의 차남이었지만 정치적 주도권을 장악하려다가 영조의 명에 의해 유폐 끝에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였다. 이러한 복잡한 가문 역사 속에서 정조는 태어났다. 정조는...2024.10.31
-
한국사 속 인물 중 한 명을 선택하여 그 인물의 업적을 살펴보고, 장점과 단점 등 그에 대한 일반적 평가와 해석을 정리한 다음, 자신의 관점에서 새로운 해석과 재평가를 시도2024.10.241. 서론 1.1. 역사 공부에 대한 필자의 경험 역사 공부에 대한 필자의 경험은 다음과 같다. 필자에게 역사는 아직까지 어려운 과목이었다. 중학교에 입학하고 나서부터 본격적으로 역사를 배우기 시작했는데, 당시 담임선생님이 역사를 가르치셨다. 선생님은 역사가 그 나라의 문화와 민족성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는 유산이라고 말씀하셨고, 이 말이 아직도 기억에 남아있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한국사를 배우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고, 광대한 역사 지식에 필자는 금방 한국사에 대한 흥미를 잃게 되었다. 특히 구석기 시대부터 삼국시대, ...2024.10.24
-
영조와 정조의 업적이 다른 이유2024.10.201. 우리 역사에서 존경받는 인물: 정조 1.1. 정조의 생애 정조는 조선의 제22대 임금으로, 영조 시대에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태어나자마자 왕세손으로 책봉되어, 국왕에 오르기까지 전형적인 제왕학을 통한 리더십 교육을 받았다. 하지만 그의 할아버지였던 영조는 신하에게 교육을 받는 수준에서 더 나아가 국왕 자체가 직접 학문을 연마하고 또 신하들을 가르치려 한 국왕이었기 때문에 사도세자나 어린 왕세손이었던 정조에게도 끊임없는 교육을 시켰고, 여러 경연 자리에 정조를 불러 신하들과 적극적으로 토론을 하도록 하였다...2024.10.20
-
영조와 정조의 탕평책 비교2024.10.201. 붕당정치와 탕평책 1.1. 붕당정치의 시작 1.1.1. 붕당정치의 의의 붕당정치란 조선 중기 이후 특정한 학문적·정치적 입장을 공유하는 양반들이 모여 구성한 정치 집단인 붕당들 사이의 공존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의 정치 운영 형태를 말한다. 붕당정치는 공론에 입각한 상호 비판과 견제를 원리로 한다는 점에서 현대의 정당 정치와 유사하지만, 구성원 사이에 학문적 유대도 공유했다는 점이 조선 시대 붕당의 특수한 성격이라고 할 수 있다. 붕당정치는 유학파의 대립, 왕실 내척의 내분, 그리고 제도상의 결함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발달...2024.10.20
-
융건릉2024.11.201. 수원·화성지역 답사 1.1. 성곽의 도시 수원·화성 개관 조선 제22대 왕 정조는 부친 사도세자의 무덤인 현륭원을 수원 화산으로 옮기면서 수원을 근대 도시로 건설하였다. 수원은 서울에서 남쪽으로 40km 정도 떨어진 곳으로, 정조는 이곳이 "우리나라의 우부풍(右扶風)의 땅"이라고 평가하였다. 즉, 바다를 등지고 한강을 앞에 두어 서울을 감싸고 있으며, 영남과 호남을 아우를 수 있는 지리적 요충지라는 것이다. 정조는 수원을 신도시로 건설하면서 사도세자의 무덤을 옮기고 이를 "현륭원"이라 명명하였다. 그리고 이 현륭원을 보호...2024.11.20
-
조선대학교 한국사2024.11.231. 광해군 재평가 1.1. 서론 1.1.1. 상반된 평가를 가지고 있는 왕 광해군은 조선의 제15대 왕이자 인조반정으로 권좌에서 쫓겨난 국왕이다. 그에 대한 평가는 극과 극을 달린다. 우선 그가 이른바 인조반정을 통해 폐위되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난정을 일삼다가 폐위된 폭군'이자 '혼주(昏主)'로 보는 전통적 인식이 있다. 다른 한편에서는 광해군을 '명청교체(明淸交替)라는 격변 속에서 이른바 '택민주의'에 입각하여 현명한 외교를 펼쳤지만 결국 당쟁에 희생된 군주'로 보는 긍정적인 시각이 있다. 또한 광해군의 공과(...2024.11.23
-
의자왕 조사 및 재평가, 역사 속 인물 영조2024.11.101. 의자왕의 재평가 1.1. 삼천궁녀와 낙화암 전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삼천궁녀와 낙화암 전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는 의자왕이 실제로 삼천의 궁녀들을 거느렸다는 주장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한다. 먼저 기록에 따르면 삼천궁녀에 대한 내용은 『삼국사기』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오히려 의자왕이 "해동증자"로 불릴 정도로 학문과 도덕성이 뛰어난 인물이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삼천궁녀라는 것은 실제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백제의 멸망 이후에 신라 측에서 의자왕의 이미지를 부정적으로 왜곡하기 위해 만들어낸 것이 아닌가 추정해볼 ...2024.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