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건강사정 복부2024.09.211. 복부 해부학 1.1. 내장의 분류 복부 내장은 크게 단단한 내장과 속이 빈 내장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단단한 내장은 특정한 모양을 유지하는 장기로, 췌장, 간, 비장, 신장, 난소, 자궁 등이 이에 속한다. 반면 속이 빈 내장은 내장 속 내용물에 따라 다른 모양을 갖는 장기로, 위, 담낭, 소장, 결장, 방광 등이 해당된다. 단단한 내장은 일반적으로 촉진이 가능하지만, 속이 빈 내장은 대개 촉진되지 않는다. 복부 내장의 분류는 각 장기의 해부학적 구조와 특성에 따라 이루어지며, 이는 복부 검사 시 정확한 위치 파악과 장기 확...2024.09.21
-
건강사정 복부2024.10.281. 복부 검진 1.1. 복부의 구조 복부는 소화기계, 비뇨생식기계, 내분비계, 혈관계 등 다양한 장기와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복부는 위쪽으로는 늑골모서리에서부터 아래쪽으로는 치골과 서혜부까지를 포함하며, 옆으로는 옆구리까지를 포함한다. 복부 내에는 호흡기계를 제외한 대부분의 내장기관이 존재하는데, 특히 위장관계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복부 내에는 위, 소장, 대장과 같은 소화기관과 간, 담낭, 췌장, 비장 등의 부속소화기관, 그리고 신장, 방광과 같은 비뇨생식기관이 위치해 있다. 이러한 장기들은 복강 내에서 특정한 해...2024.10.28
-
건강사정 신체계통별 정상 비정상 소견2024.09.301. 건강사정 개요 1.1. 건강력 건강력은 대상자와의 효율적인 면담을 통해 병력을 청취하여 수집하는 것으로, 대상자의 주호소(CC), 현병력(HPI), 과거력(PMI), 가족력(FH), 개인력과 사회력(SH), 계통별 문진(ROS)으로 구성된다."" 정확한 건강력 수집을 위해서는 치료적 의사소통 기술이 필요한데, 이는 대상자와의 라포 형성, 경청, 눈맞춤, 정보 제공 등의 기술을 포함한다. 반면 충고, 일시적 안심 등의 비치료적 의사소통 기술은 지양해야 한다."" 주호소는 대상자가 방문한 이유로, 그 말을 그대로 기록한다. ...2024.09.30
-
건강사정 요약정리2024.09.301. 신체검진법 1.1. 시진 시진(inspection)은 시각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사정하는 것이다. 간호사는 대상자를 만날 때부터 검진이 끝날 때까지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대상자의 언어적·비언어적 표현, 호흡 등을 파악한다. 먼저 포괄적인 사정을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초점사정을 실시하여 관심 있는 부위나 증상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펜라이트, 검안경, 이경, 비경, 질경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동공반사, 망막, 시신경 유두, 황반부 등을 관찰할 수 있다. 검진 시 대상자의 불편함이나 통증을 고려하여 필요 부위만...2024.09.30
-
건강사정 기말2024.12.051. 건강 사정 1.1. 건강력 사정 1.1.1. 면담 면담은 건강력 사정의 첫 단계로, 간호사와 대상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대상자의 건강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이다. 면담은 간호사와 대상자 간의 신뢰관계 형성, 정보 수집, 정보 분석 및 활용으로 이루어진다. 면담 준비 단계에서 간호사는 대상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조용하고 편안한 면담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전문적인 의학용어 대신 대상자가 이해할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하고, 천천히 명료하게 의사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 면담 시 간호사는 효과적인 의사소통...2024.12.05
-
건강사정 신체검진2024.09.041. 신체검진을 통한 건강사정 1.1. 건강사정의 개요 건강사정은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파악하고 건강수준을 사정하는 과정으로, 대상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건강사정에는 크게 대상자와의 면담을 통한 주관적 자료수집과 신체검진을 통한 객관적 자료수집이 포함된다. 주관적 자료수집에서는 대상자의 주호소 및 병력, 증상, 일상생활 등을 파악하며, 객관적 자료수집에서는 시진, 촉진, 타진, 청진 등의 방법으로 대상자의 신체상태를 직접 관찰하고 사정...202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