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개
-
신장트리의 정의와 활용분야2024.09.171. 알고리즘의 개념과 발전 1.1. 알고리즘의 정의와 특성 알고리즘의 정의와 특성은 다음과 같다. 알고리즘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명확하고 체계적인 단계들의 집합이다. 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와 규칙을 의미한다. 알고리즘은 컴퓨터 과학과 수학 분야에서 핵심적인 개념으로, 데이터 처리, 계산 수행, 의사 결정 등을 위해 사용된다. 알고리즘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알고리즘은 유한성을 가져야 한다. 즉, 유한한 단계를 거쳐 반드시 종료되어야 한다. 둘째, 알고리즘은 명확성을 가져야 한다. ...2024.09.17
-
운영체제 c code Unix os source2024.09.241. 운영체제 개요 1.1. 프로세스 상태 정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은 상태로 정의된다. 프로세스의 상태에는 "Ready", "Run", "Sleep" 등이 있다. "Ready" 상태란 프로세스가 CPU를 할당받아 실행될 준비가 된 상태이다. 프로세스는 이 "Ready" 상태에서 언제든 CPU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Run" 상태는 프로세스가 현재 CPU에 의해 실행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프로세스는 주어진 시간 할당량(time slice)을 모두 소모할 때까지 또는 블로킹 함수를 호출할 때까지 "Run" 상태를 유지한다. "...2024.09.24
-
배열과 연결 리스트 다양한 관점2024.10.051. 서론 1.1. 자료와 정보의 개념 자료와 정보의 개념은 현실세계의 데이터를 가공하여 특정 상황에 대한 결정이나 판단에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자료는 관찰과 측정을 통해 수집된 값 혹은 사실로 현실세계의 실제 대상이나 현상을 물리적인 단위로 표현한 것이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의 성별, 온도, 수온, 강수량 등이 자료에 해당한다"" 이러한 자료를 가공하여 특정한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만든 결과물이 정보이다"" 즉, 정보는 자료에 대한 유효한 해설이나 자료 간의 관계를 표현한 내용으로, ...2024.10.05
-
알고리즘 기초 22024.10.091. 알고리즘 학습 1.1. 배열 배열은 같은 자료형을 갖는 여러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명으로 모아놓은 데이터의 집합체이다. 배열에는 논리적 순서와 저장된 물리적인 순서가 동일하기 때문에 삽입과 삭제가 발생할 때 순서 유지를 위해 부가적인 자료의 이동이 필요하다. 또한 배열은 인덱스를 통한 빠른 임의 접근이 가능한 자료구조이다. 배열에서 각 데이터에 대한 접근 시간은 원칙적으로 동일하다. 하지만 데이터의 삽입과 삭제 시 추가적인 자료의 이동이 발생한다. 이는 배열의 논리적 순서와 물리적 순서가 동일하기 때문이다. 스택에서 데...2024.10.09
-
자료구조 큐 스택 비교 연산자 설명2025.02.051. 서론 1.1. 큐와 스택의 구조 비교 큐와 스택은 모두 선형 자료구조이지만, 데이터의 삽입과 삭제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큐는 선입선출(FIFO) 구조로, 데이터가 먼저 들어온 순서대로 삭제된다. 반면 스택은 후입선출(LIFO) 구조로, 가장 최근에 삽입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삭제된다. 이러한 구조적 차이에 따라 큐와 스택은 삽입과 삭제 연산자의 이름과 위치가 다르게 정의된다. 큐의 삽입 연산자는 enqueue()이며 큐의 rear 포인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큐의 맨 뒤에 추가한다. 큐의 삭제 연산자는 dequeue()이...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