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전하량 보존 법칙2024.09.131. 전하와 전기력 1.1. 전하의 개념과 특성 전하는 전기 현상을 일으키는 물질의 물리적 성질이다. 전하는 양(+)전하와 음(-)전하의 두 종류가 존재하며, 자연계의 모든 물질은 원자로 구성되어 있다. 원자는 중심의 원자핵과 주변의 전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원자핵은 전하를 가진 양성자와 전기적으로 중성인 중성자로 구성되어 있다. 보통의 원자는 같은 수의 양성자와 전자를 갖고 있어 전기적으로 중성을 띤다. 그러나 두 물체를 문질러 전자를 옮김으로써 한 쪽은 음전하를, 다른 쪽은 양전하를 띨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하는 새로 발생되...2024.09.13
-
전기력선2024.09.161. 전기장과 전기력선 1.1. 전기장과 전기력선의 개념 전기장과 전기력선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전기장은 전하가 만들어내는 공간적인 힘의 장으로, 전하로 인해 생기는 힘의 영향이 미치는 공간을 말한다. 전기장의 세기는 단위 전하당 작용하는 전기력의 크기로 정의된다. 전기장의 방향은 양(+)전하가 받는 힘의 방향과 같다. 전기력선은 전기장을 화살표로 시각화한 것으로, 전하로부터 시작하여 다른 전하로 향하는 선이다. 전기력선은 전하가 작용하는 방향을 나타내며, 전기장의 세기는 전기력선의 밀도에 비례한다. 즉, 전기력선이 조밀...2024.09.16
-
전기장과 전기력 예비2024.09.231. 서론 1.1. 개요 전기장(electric field)은 관찰 대상인 전하를 띤 물체가 공간 상의 어느 점 P에 있는 시험 전하에 가해주는 단위 전하량 당 전기력을 의미한다. 즉, 시험 전하가 느끼는 전기력을 시험 전하의 전하량으로 나눈 값이다. 전기장은 어느 전하가 다른 전하에 전기력을 가할 때, 순간적인 원격 작용이 아니라 이러한 전기력을 매개해줄 공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만든 개념이다. 전하가 주위에게 전기력을 행사하기 위해 주위공간을 적합하게 변형시킨 것이 전기장이다. 또 다르게 말하면, 전기장은 공간상에 전하가 존...2024.09.23
-
쿨롱의 법칙2024.09.241. 쿨롱의 법칙 1.1. 실험 목적 평행판 극판에 전압을 걸고 전자저울을 사용하여 두 판에 작용하는 쿨롱 힘을 측정한 후 유전률을 구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두 도체판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의 크기를 실험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쿨롱의 법칙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1.2. 관련 이론 1.2.1. 전하와 전하 사이의 관계 전하와 전하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전하의 크기가 와 이고 거리가 만큼 떨어진 두 점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의 크기는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F=k_e {q_1 q_2} over {r...2024.09.24
-
전기력선2024.09.291. 전기장 및 전기력선 실험 1.1. 등전위선 측정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은 전도성 종이 위에 전위차가 0인 점들을 이은 선이 등전위선이라는 것을 이해하고, 전극에 의해 형성된 다양한 모양의 등전위선을 측정하고 전기력선을 그려봄으로써 전기장과 전위의 개념을 이해하는 실험이다. 등전위선 측정 실험에서는 먼저 전극을 전도성 종이 위에 배치한 후, 전위차가 0인 지점들을 찾아 등전위선을 그린다. 전극의 모양에 따라 등전위선의 형태가 달라지는데, 조별로 원형 전극, 직사각형 전극, 그리고 원형과 직사각형 전극을 이용하여 각각의 등...2024.09.29
-
일반물리실험 전하와 전기력2024.10.291. 전하와 전기력 1.1. 전하와 전하량 전하는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입자인 전자와 양성자가 갖고 있는 기본적인 속성이다. 전자는 음전하를 띠고 있으며, 양성자는 양전하를 갖고 있다. 전하는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다른 입자들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전하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인력과 척력이 작용한다. 모든 전하는 양전하와 음전하의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이 둘은 정확히 크기가 같지만 부호가 반대이다. 예를 들어 전자의 전하량은 약 -1.602×10^-19 C이며, 양성자의 전하량은 그와 정확히 같은 크기인 +1.602×10...2024.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