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조선시대 콜레라2024.09.271. 19세기 조선의 전염병 콜레라(호열자) 1.1. 콜레라(호열자)의 개념 콜레라(호열자)는 주로 오염된 식수나 음식물, 과일, 채소 특히 연안에서 잡히는 어패류를 먹어 감염되며, 장례식 등 많은 사람이 모이는 경우 오염된 음식물을 통해 집단발생이 일어날 수 있다. 환자의 구토물이나 분변 속에 배설된 콜레라균에 의해 경구감염도 가능하다. 환자의 균 배출기간은 약 2-3일 정도로 짧고, 감염에는 1억-1000억개에 이르는 많은 수의 균이 필요하므로 직접 접촉전파는 유행에 큰 구실을 하지 못한다. 콜레라는 6시간~5일(대체로 2...2024.09.27
-
고1 의료계열 한국사 보고서2024.11.171. 일제강점기 전염병 1.1. 전염병의 종류 및 양상 1.1.1. 콜레라 콜레라는 처음 조선에 등장했을 때, 정체를 알 수 없는 괴이한 병이라는 뜻에서 '괴질'이라 불렸고 이후 호랑이가 살점을 찢어내는 것과 같이 괴롭다고 하여 '호열자'라는 이름이 붙기도 했다. 당시의 콜레라 치사율은 80~90%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콜레라는 원래 인도 지방의 풍토병이었는데 영국의 대인도 식민지배 이후 여러 교역로와 물자, 인력의 이동을 통해 주변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일제강점기에는 1919년, 1920년에 대유행했는데, 1919년에는 ...2024.11.17
-
장티푸스 국내 사례2024.11.061. 수인성전염병 1.1. 수인성전염병이란 수인성전염병이란 병원성 미생물이 오염된 물에 의해서 전달되는 질병으로, 사람이 병원성 미생물에 오염된 물을 섭취하여 발병하는 감염병을 말한다. 주로 물을 매개로 하여 전파되는 전염병인 것이다. 수인성전염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들은 오염된 물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와 위장관에서 증식하면서 감염증을 일으키고, 분변을 통해 우리 몸 밖으로 나간다. 이는 다시 주변의 물을 오염시켜 다시 다른 사람들을 감염시키는 순환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람이 병원성 미생물에 오염된 물을 섭취하...2024.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