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균열관리대장2024.10.301. 서중콘크리트 관리 계획 1.1. 개요 일평균 기온이 25℃를 넘는 경우,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의 기온이 30℃를 넘게 되면 콘크리트로서의 성상이 현저해지므로, 혹서기 콘크리트 타설로 인해 예상되는 건조수축 균열, 시공 Joint 발생 등의 문제점을 사전에 예방하여 콘크리트 내구성 및 구조물 품질관리에 만전을 기하고자 함이다. 1.2. 서중콘크리트 특징 서중콘크리트는 일평균 기온이 25℃를 넘는 경우,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기온이 30℃를 넘게 되면 콘크리트로서의 성상이 현저해지므로, 혹서기 콘크리트 타설로 인해 예상되는 건조...2024.10.30
-
건축재료 골재 함수상태 설명2024.11.071. 골재의 함수상태 1.1. 골재의 함수상태 분류 1.1.1. 절대건조상태 절대건조상태는 골재를 100℃~110℃에서 24시간 이상 건조시켜 더 이상 중량 변화가 없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골재 내부의 모든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로, 골재의 함수량이 0%인 것을 의미한다. 이 상태에서는 골재 입자 사이의 빈틈(공극)이 완전히 비어있으며, 골재의 표면과 내부가 모두 완전히 건조된 상태이다. 절대건조상태의 골재는 다른 함수 상태의 골재와 비교할 때 가장 작은 체적과 무게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절대건조상태의 골재는 실제 콘크리...2024.11.07
-
철근콘크리트 6장2024.10.141. 철근 콘크리트의 정의 및 역사 1.1. 철근 콘크리트의 개요 철근 콘크리트는 포틀랜드 시멘트와 골재 및 물이 일정한 비율로 배합되어 이루어진 콘크리트에 철근이 보강되어 경화되면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구조체를 말한다. 철근 콘크리트는 개발된지 140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지만, 높은 경제성과 시공성, 내구성, 조형성 등의 장점으로 구조재료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되어 각종 용도의 구조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1.2.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역사적 배경 기원전 30세기 경에 고대 로마인들은 화산재의 퇴적에 의하여 생긴 응...2024.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