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데카르트 칸트2024.10.181. 근대철학과 인식론 1.1. 데카르트의 이원론과 코기토 데카르트는 근대철학을 대표하는 합리론자로, 물질과 정신의 이원론을 주장했다. 그는 세계를 극단적으로 단순화하여 물질과 정신이라는 두 실체로 구분했다. 물질의 근본 속성을 "연장"이라고 칭했는데, 이는 수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균질한 공간이자 다른 것이 들어갈 수 없는 꽉찬 공간이다. 이러한 기하학적이며 기계론적인 물질관은 근대 과학의 배경이 되었다. 한편 정신에 대해 데카르트는 순수한 사유, 즉 "코기토(cogito)"로 정의했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2024.10.18
-
르네 데카르트2024.10.231. 데카르트의 생애와 사상 1.1. 성장배경과 교육 데카르트는 프랑스 중부의 작은 마을 투렌느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조아생은 렌 지방의 브르타뉴 의회 의원인 귀족 관료였다. 데카르트의 가정은 부유한 편은 아니었지만 생활고에 시달리지는 않았다. 이에 따라 데카르트는 힘들지 않게 살 수 있었고, 다른 귀족들처럼 대학에 지원해달라고 요청할 필요가 없었다. 데카르트는 11세부터 19세까지 라 플레쉬에 새로 세워진 예수회의 왕립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이 학교에서 그는 고전학과 철학, 라틴어, 역사, 수사학, 시학 등을 배웠다. 특...2024.10.23
-
수학의 몽상2024.11.301. 미적분의 역사와 응용 1.1. 미적분 탐구의 동기 고등학교에 올라와 수학을 배우면서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 의문이 있었다. '도대체 이렇게 어렵게 배운 수학을 나중에 써먹을 수가 있을까? 만일 써먹을 데가 없다면 왜 배워야 하는 거지?'라는 의문이었다. 사실 이러한 의문은 고등학생이 되기 전부터 가졌던 의문이기도하다. 특히 잘 풀리지 않는 문제를 만날 때마다 마치 투정을 부리듯 의문이 떠오르곤 했다. 고등학생이 되어서 이 질문이 자주 떠오른 계기는 바로 '미분과 적분' 단원을 배울 때였다. 아무리 생각해보아도 미분과 적분은 일...2024.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