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판넨베르크 종말론2024.12.091. 판넨베르크(Wolfhard Pannenberg)의 신학과 역사 이해 1.1. 사상적 배경 1.1.1. 칼 바르트(Karl Barth) 칼 바르트는 판넨베르크에게 깊은 영향을 끼쳤다. 첫째, 판넨베르크는 바르트의 신학 전통에 대한 경외와 헌신, 그리고 신학자로서의 철저한 책임 의식에서 큰 감동을 받았다. 둘째, 판넨베르크는 바르트의 계시에 대한 통찰에서도 많이 배웠다. 바르트가 주장한 하나님의 자기 계시 개념의 본질 이해는 판넨베르크 신학의 출발점이 되었다. 셋째, 판넨베르크는 계시가 하나님의 자기 계시라면 예수 그리스도는 ...2024.12.09
-
본회퍼 윤리학2024.12.091. 디트리히 본회퍼의 생애와 신학 1.1. 본회퍼의 생애와 순교 본회퍼의 생애와 순교는 다음과 같다. 디트리히 본회퍼는 1906년 브레슬라우에서 태어났다. 그는 정신의학과 신경학의 권위자이자 대학교수인 아버지와 외증조부가 신학자, 외조부가 황제를 모시던 목사였으며, 그의 친가에도 15세기에 저명한 신학자들이 있었던 신학의 전통을 이어받은 집안에서 자랐다. 12세부터 신학책을 읽기 시작한 그는 17세에 튜빙겐에서 공부했고, 18세에는 아돌프 폰 하르낙, 칼 홀, 라인홀트 제베르크 등 당대 주도적인 자유주의 사상가들의 문하에 있었다...2024.12.09
-
성서해석학 시간 이론에서 서사학까지2024.08.281. 역사적 입장에서 본 성서 해석의 유형 1.1. 초대 교회의 성서관 초대 교회의 성서관은 세 가지 규범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는 구약 성서이며, 둘째는 예수를 직접 목격하고 그의 말씀을 들었던 사도들이고, 셋째는 구약 성서와 사도들에게 규범을 주신 주님이 바로 그리스도이다. 중요한 점은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말씀을 증거하면서도 동시에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것이다. 그리스도는 사도들보다 더 우위에 있으며 초대 교회의 기독교 성서 해석은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시작된다.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말씀은 사도들과 제자들에게 구전되었고 이후 1...2024.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