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1개
-
lab검사2024.09.181. 혈액 검사 개요 1.1. 일반 혈액 검사 1.1.1. 백혈구(WBC) 검사 백혈구(WBC) 검사는 혈액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세포 중 하나인 백혈구의 수를 측정하는 검사이다. 백혈구는 신체의 건강 상태를 유지하고 감염이나 외부 물질에 저항하여 신체를 보호하는 면역기능을 수행하는 세포로서, 호중구, 림프구, 단구, 호산구, 호염기구 등 다섯 종류로 나뉜다. 백혈구 검사는 감염, 염증, 면역 질환, 백혈병 등 다양한 질병을 진단하고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면 급성 감염, 홍역, 외상, 악성 종...2024.09.18
-
인산이온2024.09.191. 용존 인산이온의 정량분석 1.1. 서론 이 실험은 몰리브덴산 암모늄 용액에 환원제인 염화주석용액(Stannous chloride,Ⅱ)을 가해 몰리브덴 블루 반응이 나타난 시료들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분광광도계는 수용액 내 용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기기로, 가해준 시약과 시료가 반응하여 생성된 색깔의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농도를 정량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인산이온 표준 용액과 미지시료를 이용하여 몰리브덴 청법으로 인산 농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분광광도계를 활용한 정량분석 ...2024.09.19
-
체액과 전해질 성인간호2024.09.101. 체액과 전해질 1.1. 체액과 전해질 생리 1.1.1. 체액 체액은 생명 유지에 기본적인 요소이며, 세포의 형태를 유지하고 구성요소가 되며 생리기능을 주관한다. 체액은 세포 내외로 물질을 이동하는 수단이 되며, 체내의 화학반응을 일으키고 체온조절을 한다. 또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체내의 불필요한 노폐물을 배출한다. 체액은 크게 세포 내액과 세포 외액으로 구분된다. 세포 내액은 모든 세포 내 성분들이 녹아있는 액체이며, 주요 양이온은 고농도의 K+와 Mg2+, 주요 음이온은 HPO4 2-와 단백질, ATP, ADP,...2024.09.10
-
식이교육자료2024.10.051. 혈액투석 환자 식이요법 1.1. 단백질 섭취량 혈액투석 환자의 단백질 섭취량은 매우 중요하다. 혈액투석을 하면 단백질이 손실되므로 단백질 섭취를 적절히 유지해야 한다. 단백질을 지나치게 제한하면 빈혈이나 영양실조를 초래할 수 있지만, 과다 섭취하면 노폐물 상승과 요독증을 유발할 수 있다. 혈액투석 환자의 1일 단백질 필요량은 체중 60kg 기준 60~70g 정도로 알려져 있다. 질 좋은 단백질원으로는 고기, 생선, 계란, 두부, 콩, 우유 등이 권장된다. 단백질 섭취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단순히 양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2024.10.05
-
혈액투석 환자의 식이요법2024.10.051. 만성신부전의 병태생리 1.1. 만성신부전의 정의와 원인 만성신부전은 신장의 손상으로 정상적인 신장의 역할을 수행하는 능력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만성신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병성 신증, 고혈압 그리고 사구체신염이다. 이 세 가지 질병은 성인에서 만성신부전증을 일으키는 전체 원인의 75%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하다. 이러한 원인에 의해 3개월 동안 사구체여과율이 60ml/분(정상 125)미만이 되면 만성신부전으로 분류되고 더 나아가 사구체 여과율이 정상의 15%이하로 신대체 요법(이식, 투석)을 시행하지 않...2024.10.05
-
저나트륨혈증 고나트륨혈증2024.09.261. 개요 1.1. 전해질의 개념 및 역할 전해질은 세포외액이나 세포내액에서 볼 수 있는 전기를 띤 이온으로 해리된 물질이다. 주요 양이온에는 Na+, K+, Ca2+, Mg2+, H+가 있으며, 주요 음이온에는 Cl-, P-, HCO3-, 단백질이 있다. 세포 내 전해질에는 K+, Mg2+, P-가 주로 존재하고, 세포 외 전해질에는 Na+, Ca2+, Cl-, HCO3-가 주로 존재한다. 전해질은 신체 수분 조절, 산-염기 조절, 효소 반응 및 신경근 활동에 주로 영향을 미친다. 그중에서도 세포외액에 있는 나트륨 농도가 체...2024.09.26
-
성인간호학 정리 전해질불균형2024.09.111. 세포외액과 세포내액의 균형 1.1. 나트륨(Sodium) 1.1.1. 나트륨의 역할 나트륨은 세포외액의 주요 양이온으로, 세포외액의 삼투압 농도를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포외액 내 나트륨은 수분 정체와 산-염기 균형 조절에도 핵심적인 영향을 미친다. 나트륨 이온은 수분과 함께 이동하며, 체내 나트륨 양의 조절은 항이뇨 호르몬, 갈증 기전, 신장에서의 나트륨 농축 기전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정상적인 혈장 나트륨 농도는 135~145 mEq/L이며, 체내 나트륨의 대부분은 세포외액 구획에 존재한다. 나트륨...2024.09.11
-
고혈압성 신장 질환 만성신부전 간호진단2024.09.301. 고혈압성 신장 질환 1.1. 고혈압성 신장질환의 정의 및 원인 고혈압성 신장질환의 정의 및 원인은 다음과 같다. 고혈압성 신장질환은 신체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고혈압에 의한 합병증 중 하나로, 신장의 사구체 내의 혈관에서도 고혈압이 원인이 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변화에 의해 신장 속에 있는 사구체의 조직이 단단하게 굳는 현상이 진행되어 결국에는 신장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이다. 신장은 혈압을 조절하는 혈압조절 본부이며 혈압과 신장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고혈압은 신장 질환의 원인이자 결과가 된다. 즉, 혈압이 높...2024.09.30
-
전해질불균형2024.10.081. 전해질 개요 1.1. 전해질의 정의 전해질은 세포외액이나 세포내액에서 볼 수 있는 전기를 띤 이온으로, 해리된 물질을 말한다. 전해질은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구분되며, 양이온에는 나트륨(Na+), 칼륨(K+), 칼슘(Ca++), 마그네슘(Mg++) 등이 있고, 음이온에는 염소(Cl-), 인(P), 탄산(HCO3-), 단백질 등이 있다. 세포외액에는 나트륨, 칼슘, 염소, 중탄산이 풍부하고, 세포내액에는 칼륨, 마그네슘, 인, 단백질이 풍부하다. 전해질은 체내 수분 조절, 산-염기 균형, 효소 반응, 신경근 활동 등에 중요한 역...2024.10.08
-
수분 전해질 불균형 환자 간호 및 성인간호학 정리2024.10.241. 체액 및 전해질 개요 1.1. 체액의 정의 및 기능 체액은 인체를 구성하는 주요 성분으로, 세포의 화학적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수성 매개체 역할을 한다. 체액은 크게 세포내액(intracellular fluid, ICF)과 세포외액(extracellular fluid, ECF)으로 구분된다. 세포내액은 신체 세포의 내부에 존재하며, 체액의 약 2/3를 차지한다. 세포외액은 세포 밖에 존재하는 체액으로, 체액의 약 1/3을 차지한다. 세포외액에는 간질액(interstitial fluid), 혈장(plasma), 그리고 체강액(...2024.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