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친핵성 치환반응 t-butyl chloride 합성 결과, cyclohexanol 탈수 실험 FT-IR 분석2024.10.301. 친핵성 치환반응 : t-butyl chloride 합성 1.1. 실험 방법 1.1.1. 이론상 실험 방법 분별깔때기에 진한 염산 0.8m를 넣고 3~5°C까지 냉각시킨다. 이어서 0.25mL t-butyl alcohol을 넣고, 20분동안 잘 흔든다. 가끔씩 마개를 열어 분별 깔때기를 거꾸로 해 압을 제거한다. 혼합물을 두 층으로 분리한다. 결과물을 10~15mL의 증류수로 세척하고 5%의 NaHCO3 수용액으로 세척한 뒤, 다시 증류수로 세척한다. 마지막으로 chloride를 작은 플라스크에 옮겨 담고, 5~6g의 MgS...2024.10.30
-
유기화학 정리2024.10.191. 궤도함수와 전자배치 1.1. 전자궤도 전자궤도는 전자가 원자 주위를 도는 Bohr 원자모형에 의한 고전적 물리적 원형 궤도이다. 보어의 원자 모형에 따르면 전자는 원자핵 주변을 일정한 궤도를 그리며 원형으로 돌고 있다. 이 궤도를 전자궤도라고 한다. 보어는 이 전자궤도가 양자화되어 있다고 제안했는데, 전자는 일정한 거리를 주기적으로 돌며 그 거리를 양자수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전자궤도는 전자가 원자 내에서 움직이는 경로이며, 원자 모형에서 전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방법이다. 1.2. 오비탈 및 궤도함수 오비탈은 ...2024.10.19
-
유기화학 정리2024.10.191. 원자 궤도함수 및 전자 배치 1.1. 궤도함수의 종류 1.1.1. s 궤도함수 s 궤도함수는 궤도 양자수 l = 0인 핵을 가운데에 둔 구형 궤도함수이다. s 궤도함수에는 단 하나의 배향만을 갖는다. 전자가 존재할 확률밀도는 원자핵으로부터 거리가 증가할수록, 여러 봉우리 및 골을 보인다. 1s 궤도함수에는 높은 봉우리 1개, 2s 궤도함수에는 높은 봉우리 2개, 3s 궤도함수에는 높은 봉우리 3개가 있다. s 궤도함수에는 2개의 전자가 들어갈 수 있다. 1.1.2. p 궤도함수 p 궤도함수는 궤도 양자수 l = 1인 궤도함...2024.10.19
-
친핵성 치환반응2024.10.171. 친핵성 치환반응 1.1. SN 반응의 개요 1.1.1. 치환반응의 종류 치환반응은 원자나 원자단이 다른 원자나 원자단에 의해 치환되는 반응이다. 일반적으로 치환반응은 기질을 공격하는 시약에 따라 3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시약이 친핵체(음이온성)인 경우 친핵성 치환반응(nucleophilic substitution, SN)이라 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유기할로겐 화합물의 치환반응과 에스테르의 알칼리 가수분해반응(비누화 반응)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시약이 친전자성(양이온성)인 경우 친전자성 치환반응(electroph...2024.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