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배변 간호중재2024.10.011. 배뇨 및 배변 관련 간호문제와 중재 1.1. 유치도뇨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관리 유치도뇨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유치도뇨관을 삽입하고 있는 환자에게서 검사물을 채취할 때에는 도뇨관과 배액관을 분리하지 않고 멸균 주사기로 소변을 수집해야 한다. 이는 검사물의 오염이나 환자가 손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소변수집 주머니의 검사물 채취용 포트를 소독솜으로 닦거나 포트가 없을 때에는 도뇨관 끝부분을 닦아야 한다. 감염 예방을 위해 유치도뇨관 삽입 후 폐쇄적 배액체계를 유지하고, 도뇨관과 튜브는 절대...2024.10.01
-
치질 간호진단2025.03.191. 서론 치질은 항문 및 직장의 정맥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부풀어 오른 상태이다. 치질의 원인으로는 복압 상승, 변비, 장기간 서 있기, 임신 등이 있으며, 출혈, 통증, 가려움증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치질은 직장 수지 검사, 직장경 검사 등으로 진단할 수 있다. 치료는 내과적 치료와 외과적 치료로 구분되며, 증상 정도에 따라 선택한다. 내과적 치료로는 식이요법, 약물요법 등이 있고, 외과적 치료로는 고무밴드 결찰술, 레이저 수술, 치핵절제술 등이 있다. 치질 수술 후에는 통증 관리, 자가 관리 교육, 스트레스와 안위 관리...202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