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사회적 농업의 해외 사례2024.09.201. 치유농업의 개요와 효과 1.1. 치유농업이란? 치유농업이란 농업·농촌활동과 자원 등을 활용하여 심리·정서적 안정 효과와 스트레스 완화, 신체, 인지, 사회 등의 건강을 도모하는 일련의 활동과 산업 등을 의미한다. 해외에서는 '케어파밍(Care Farming)'이라고 불리고 있으며, 2013년 농촌진흥청에서 유럽의 복지·농업 선진국의 녹색 치유 농업사례 및 효과분석 연구를 진행하면서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의를 통하여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개념이다. 2021년 3월 25일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이하 '치...2024.09.20
-
노인 농사 (스마트 팜2024.10.151. 케어팜(Care Farm)과 치유농업 1.1. 케어팜의 개념 케어팜(Care Farm)은 '치유농장'을 말하며, 유럽에서 발전한 농업에 의료와 사회서비스 융합의 형태로 등장하였다.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케어팜은 "농장이나 텃밭 등을 운영함으로써 심리적·사회적·신체적 건강을 회복하거나 증진하도록 하는 것. 또는 그런 시설"로 풀이되어 있다. 치유농업법 제2조 제1항에 따르면 치유농업은 "국민의 건강 회복 및 유지·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다양한 농업·농촌자원의 활용과 이와 관련한 활동을 통해 사회적 또는 경제적 부가가치를...2024.10.15
-
산림기능사 문제해설2024.10.131. 산림복지 생애주기별 필요성과 시설별 영역 1.1. 산림복지의 개념과 필요성 산림복지의 개념과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산림복지는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산림서비스의 개발 및 공급, 산림 및 산림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보장 세 가지 요소가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산림복지는 광의의 개념으로 보존과 조림을 통해 산림자원을 활성화하고 활용함으로써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지속가능한 복지 시스템으로 정의된다. 협의의 개념으로 산림은 보편적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생애주기의 다양한 단계에서 삶의 질을 다차원적으로 개선하고 모...2024.10.13
-
팜한농2024.11.171. 그린바이오 산업 환경분석 1.1. 시장 동향 1.1.1. 그린바이오 개념 정의 그린바이오(Green BT)는 바이오기술과 농업, 임업, 수산업 등을 융합·실용화하여 고부가가치 자원과 소재, 제품을 생산하는 분야를 지칭한다. 바이오기술은 사용 목적과 소재에 따라서 그린바이오(식량, 자원), 레드바이오(보건, 의료), 화이트바이오(환경, 에너지)로 구분된다. 그린바이오 기술은 안전성 및 환경 위해성이 검증된 친환경 작물보호제, 유전자를 전이 또는 변형시킨 유전자변형생물체(GMO)의 생산과 활용, 기능성 소재를 생산하는 식물공장...2024.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