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풍양보건소 간호과정2024.10.101. 남양주시 지역사회 간호과정 1.1. 지역사회 사정 1.1.1. 지리적 특성 남양주시는 경기도 동북부에 위치하며, 수도 서울에서 동쪽으로 26km 지점에 그리고 도청 소재지인 수원에서 동북방으로 65km 지점에 자리하고 있다. 총면적은 458.53㎢로 경기도 면적의 4.5%를 차지하며, 이 중 개발제한구역은 182.23㎢(41%), 상수원특별대책지역은 194.9㎢(42.3%), 상수원보호구역은 42.38㎢(9.2%), 군사시설보호구역은 40.73㎢(8.9%)를 차지하고 있다. 남양주시는 동북부의 산지와 서남부의 분지로 구...2024.10.10
-
지역사회간호 케이스2024.11.241. 낙상 위험 국민적 인식 제고와 지역사회간호활동 1.1. 낙상의 심각성 및 예방관리 중요성 낙상은 의료기관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사고 중 하나이며, 어느 곳에서나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다. 특히 노인에게 있어 낙상은 심각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낙상 발생 시 노인에서는 엉덩이 또는 대퇴골 골절, 척추 골절, 머리 손상, 상지 및 기타 부위 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고, 나아가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미국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 중 3분의 1 이상이 1년간 한 번 이상의 낙상을 경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2024.11.24
-
현문사 간호관리 요약2024.12.061.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Health Plan, HP) 1.1. 정의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정의는 "국민건간증진종합계획의 효율적인 운영 및 목표 달성을 위해 모니터링, 평가, 환류하는 사업으로서 「국민건강증진법」 제4조에 근거하여, 국민의 건강증진 · 질병예방을 위한 건강증진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범정부적 중장기 종합계획"이다. 1.2. 사업목적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사업목적은 "성과지표 모니터링 및 평가를 통해 국민의 건강수준 및 건강정책의 효과를 평가하고 국가 건강증진전략 도출 및 건강증진정책 개발의 근거 확보"이다."국민건...2024.12.06
-
방문보건간호사2024.08.281. 지역사회 보건간호사업 1.1. 통합건강증진사업 통합건강증진사업은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지역주민 요구에 맞는 사업을 보건소에서 자체적으로 기획하여 건강생활실천, 만성질환예방, 취약계층 건강관리 등을 통합 추진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의 목적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맞춤형 보건사업을 실시하여 지역 주민의 건강수준 향상과 건강격차를 감소하기 위함이다. 시 지역의 사례를 살펴보면, 지역사회의 건강현황을 공신력 있는 자료를 통해 분석하여 2018년 핵심성과지표로 성인남성 흡연율, 고위험 음주율, 걷기 실천율을 선정하여 중점적으로 사...2024.08.28
-
수원시 국민디자인단2024.11.061. 지역사회 보건사업 계획서 1.1. 개요 이 보건사업계획서는 지역 실정에 적합한 보건의료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함으로써 보건의료서비스 질 향상과 시민건강 향상 도모를 위한 계획서이다. 수행기간은 2015년~2018년까지 4년간의 계획이다." 1.2. 현황 및 분석 1.2.1. 지역사회 보건사업 기획의 유형 지역사회 보건사업 기획의 유형에는 기간별, 대상별, 지역별 유형이 있다. 기간별 유형으로는 장기기획, 중기기획, 단기기획이 있다. 이 계획서는 2015년~2018년까지 4년간의 중기기획에 해당한다. 대상별 유형으로는 개인...2024.11.06
-
지역사회영양 사업 보고서2024.12.191.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1.1.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의의 및 특성 1.1.1. 개념 및 추진배경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은 지자체가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건강생활실천 및 만성질환 예방, 취약계층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기존의 17개 개별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을 통합하여 지역의 특성과 주민의 수요를 반영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기획하고 추진하는 것이 특징이다. 추진 배경으로는 먼저, 기존의 국고보조사업 방식이 중앙정부에서 정한 사업내용과 방법에 따라 지자체가 수동적으로 사업을 수행하고, 지역 여건을...2024.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