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신학 성경 인물 연구 모세2024.10.231. 모세(Moses): 출애굽의 위대한 영도자 1.1. 모세의 의미와 출생 모세는 "건져내다"라는 히브리어 동사 '마샤'에서 파생된 이름을 가지고 있다. 그의 이름이 의미하듯이 모세는 애굽의 왕녀에 의해 나일 강물에서 건져내어진 인물이다. 모세는 B.C. 1527년경 벧세매스에서 태어났으며, 레위 지파 출신으로 아므람과 요게벳의 아들이자 미리암과 아론의 동생이었다. 당시 애굽 왕 바로의 칙령으로 히브리 족속의 사내아이를 모두 죽이라는 탄압이 이어지는 시기에 태어난 모세는 갈대 상자에 실려 나일 강에 버려졌다. 그러나 애굽의 공주...2024.10.23
-
신명기 신학2024.10.251. 서론 "성경에 기록된 이스라엘의 절기는 오늘날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쉽게 와 닿지 않는다. 이는 수천 년이 넘는 시공간적 상이성 때문일 것이다. 이런 이유들로 절기를 소홀히 지나치기에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기독교의 뿌리가 되는 이스라엘 유대교는 절기축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유대교 절기를 소홀히 지나치는 것이 아니라 자세히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2. 신명기 30:1-10 본문 분석 2.1. 본문 사역 본문 사역은 다음과 같다. 신명기 30장 1절에서는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내가...2024.10.25
-
구약성서 이해2024.10.081. 구약성서 이해 1.1. 구약성서와 유대민족 구약성서와 유대민족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유대인들에게 가장 큰 특징은 그들의 역사의식에서 알 수 있다. 유대인들은 과거를 기억하며 자신들의 정체성을 찾는 민족이다. 그들에게 구약성서는 역사적인 체험을 신앙으로 해석하여 인생의 궁극적인 의미를 밝히려는 거룩한 역사이자, 사람들의 삶 속에서 역사하시는 하나님에 관한 이야기이다. 구약성서의 핵심은 유대민족의 역사와 그들의 하나님과의 관계이다. 구약성서는 창세기부터 다니엘서까지 약 천년에 걸친 유대민족의 역사를 담고 있다. 이스라엘 백...2024.10.08
-
다니엘서 2장 31-45절2024.10.101. 구약의 주요 내용 1.1. 하나님과 인간 하나님과 인간은 창세기 1-2장에 잘 나타나있다. 여기서 하나님은 전능하신 창조주로 소개되며, 그분이 천지를 창조하시고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으셨음을 알 수 있다. 즉 하나님은 무한하고 전지전능한 분이시며, 인간은 유한하고 피조된 존재로서 하나님과 구분된다. 한편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음 받았기에 특별한 존재이다. 인간은 하나님과 교제하며 세상을 다스릴 권세를 받았다. 그러나 동시에 인간은 하나님의 피조물이자 종속적인 존재이기도 하다. 즉 인간은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2024.10.10
-
요한복음을 두 페이지로 요약해 주세요2024.11.171. 역사비평의 도전과 복음주의의 응답 1.1. 복음주의의 정의와 성서 비평 복음주의의 정의와 성서 비평은 역사비평의 도전 속에서 복음주의자들이 어떠한 관점을 가지고 대응해 나가는지를 보여준다. 복음주의자들은 성서의 권위와 영감성을 인정하면서도 역사비평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성서 해석에 접근한다. 이들은 성서 해석의 중요성을 인정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성서의 신학적 가치와 실천적 메시지를 중요하게 여긴다. 즉, 역사비평의 성과를 인정하면서도 이를 단순히 문학적, 역사적 분석에 그치지 않고 신앙고백과 연결시키려 한다. 특히 복...2024.11.17
-
대선지서 사역자들의 사역2024.12.181. 구약성경의 개관 1.1. 창세기 1.1.1. 하나님의 창조사역과 인간의 타락 하나님께서는 천지창조의 주권자로서 말씀으로 천지만물을 창조하셨다. 세상의 시작은 하나님의 창조사역으로부터 비롯되었다. 하나님은 태초에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고, 빛과 어둠, 낮과 밤, 하늘과 물, 육지와 식물 등을 6일 동안 차례로 창조하셨다. 마지막으로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형상대로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셨다. 하나님께서는 에덴동산에 아담과 하와를 두시고 그들에게 자유롭게 동산을 다스리고 열매를 먹을 수 있게 하셨다. 다만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2024.12.18
-
네게브 정신2024.08.301. 이스라엘의 역사와 문화 1.1. 이스라엘의 성경적 뿌리 성경에서 말하는 이스라엘은 가나안 땅, 약속의 땅, 이스라엘 땅, 유다, 팔레스티나, 시온 등의 이름으로 다양하게 일컬어지고 있다. 인류의 오랜 역사에서 가장 뚜렷한 발자취를 남겼던 여러 가지 사건과 이야기들을 안고서 수세기 동안 잠자던 이스라엘은, 이제 다시 부흥하는 약동의 나라가 되었다. 유대인들은 끝없는 유랑과 망명속에서도 돌아가야 할 약속의 땅을 한시도 잊지 않았다. 그들은 일어나 돌아왔으며 바람이 끊임없이 불어오는 모래땅을 가꾸기 시작하였다. 삭막한 늪지와 언덕...2024.08.30
-
신명기 16장2024.08.281. 서론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절기는 과연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본 서론은 시작된다. 성경에 기록된 이스라엘의 절기는 오늘날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쉽게 와 닿지 않는다. 이는 수천 년이 넘는 시공간적 상이성 때문일 것이다. 이런 이유들로 절기를 소홀히 지나치기에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기독교의 뿌리가 되는 이스라엘 유대교는 절기축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유대교 절기를 소홀히 지나치는 것이 아니라 자세히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본서는 신명기 16:13-17을 본문으로 ...2024.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