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4개
-
ebnf bnf 변환 for문2024.09.021.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능과 평가 기준 1.1. 프로그래밍 언어의 세 가지 기본 기능 프로그래밍 언어의 세 가지 기본 기능은 작성력, 가독성, 실행 가능성이다. 작성력이란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이 개발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프로그래밍 언어는 개발자가 작성한 소스코드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명령어로 정확하게 변환되게 해야 한다. 이를 위해 프로그래밍 언어는 명확한 구문 규칙과 문법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가독성이란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사람이 쉽게 이해할 ...2024.09.02
-
for 문 EBNF2024.09.021.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능과 평가 기준 1.1.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 기능 1.1.1. 작성력 작성력(writability)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 기능 중 하나로,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프로그래머가 코드를 작성하기 편리하고 수월한 정도를 나타낸다. 작성력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 구조, 키워드 및 식별자 명명 방식, 데이터 타입 지원, 연산자 및 제어구조 등 전반적인 언어 설계에 의해 결정된다. 언어의 작성력이 높다는 것은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프로그래머의 생산성과 편의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C 언어는 포...2024.09.02
-
객체지향 언어의 다형성(Polymorphism)을 자세히 설명2024.09.021. 객체지향 개념의 이해 1.1. 객체와 클래스 객체(object)는 실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과 개념을 추상화한 모델이다. 자동차, 건물, 사람, 숫자 등 실제 존재하는 물리적 대상뿐만 아니라 추상적인 개념까지 모두 객체로 볼 수 있다. 객체는 상태와 행동의 두 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태는 객체가 가지고 있는 속성이나 특성을 의미하며, 행동은 객체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나 동작을 의미한다. 클래스(class)는 유사한 객체들의 집합에 대한 설계도 또는 청사진이다. 클래스에는 객체가 가질 수 있는 속성과 행동이 정의...2024.09.02
-
글로벌시대의 예술과 가치2024.10.121. 서론 1.1. 예술에 대한 개인적 관심과 접근 아주 어렸을 적 미술관을 가본 적이 있지만, 그때의 기억은 전혀 나지 않는다. 사실상 이번이 내 인생에 처음으로 미술관을 가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연극, 뮤지컬, 영화, 만화, 음악, 콘서트 등 다양한 예술 장르에 관심이 많았지만, 그림, 조형물, 조각 등 시각 예술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다. 하지만 최근 "글로벌 시대의 예술과 가치" 수업을 들으면서 예술에 대한 관심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강의 시간에 대부분 그림, 사진, 조형물 등의 이미지가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를 통...2024.10.12
-
글로벌 시대 예술 가치 교안2024.10.101. 예술과 가치의 역사 1.1. 고대 예술의 정신 고대 예술의 정신은 신과 인간, 자연의 조화를 중요하게 여겼다. 고대 그리스 예술은 인간의 이성적 능력과 아름다움을 추구하였고, 특히 조각에서 인체의 균형미와 비례를 강조하였다. 플라톤은 이데아론을 통해 현실 세계보다 이상적인 세계의 우월성을 주장하였는데, 이는 예술이 모방의 대상이 되는 현상계가 아니라 이데아계를 반영해야 한다는 관점으로 이어졌다.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이 현실을 모방하되, 이를 통해 보편적 진리에 접근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처럼 고대 그리스 사상가들은 ...2024.10.10
-
객체지향2024.09.191.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개념과 이해 1.1. 객체지향의 기원 객체(object)의 개념이 처음 등장하는 것은 60년대 중반에 소개된 Simula라고 하는 시뮬레이션 언어를 통해서이다. 그 이전에도 객체라는 용어는 인공지능 등 몇몇 분야에서 가끔 나타나기도 하였지만 "캡슐화(encapsulation)", "다형성(polymorphism)" 등 객체지향의 개념이 비로서 소개되었다. 객체지향이란 용어가 중요하게 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70년대 초반 XEROX사의 PARC(Palo Alto Research Center)에서 "Dynab...2024.09.19
-
미니멀리즘 작가2024.09.191. 서론 미니멀리즘(minimalism)이란 전통적인 미술에서 벗어나 불필요한 요소를 배제하고 본질에 충실한 최소한의 요소만을 남기는 방식을 채택하는 미술 사조이다. 전통미술은 이성(reason)을 기초로 하므로 정확하고 구체적인 형상을 표현했지만, 이런 구체성은 예술의 본질을 저해하고 독자의 상상력을 저해할 수 있다. 그래서 단순함과 간결함을 추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 미술의 모습이라고 주장한다. 1960년대 제3차세계대전을 전후하여 모든 예술 장르(음악, 건축, 철학, 패션)는 다양성을 가지게 되는데, 그중 하나의 사조인 미니...2024.09.19
-
sw기초코딩2024.09.271. 컴퓨팅 사고력과 SW 교육 1.1. 컴퓨팅 사고력의 정의와 중요성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은 복잡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 과학자들이 사용하는 사고방식이다. 많은 사람들은 컴퓨팅 사고력이라고 하면 코딩이나 알고리즘 만들기 등과 같은 컴퓨터 과학 분야를 떠올리곤 한다. 하지만 컴퓨팅 사고력은 컴퓨터 과학의 세부적인 개념과 기술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에 접근하고 해결하는 본질적인 방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컴퓨팅 사고력은 복잡한 문제를 단순화하고 논리적, 효율적으로 해...2024.09.27
-
수학으로 생각하는 힘2024.10.101. 수학적 사고를 통한 문제 해결 1.1. 수학의 본질: 지름길 찾기 수학의 본질은 지름길을 찾는 것이다. 복잡한 문제나 현상을 단순화시키고, 효율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바로 수학의 핵심이다. 수학은 다양한 분야에서 지름길을 찾는 도구로 활용되어 왔으며, 이를 통해 인류 문명의 발전을 이루어 왔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학은 복잡한 문제를 단순화시키고 효율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피라미드를 축조하기 위해 필요한 돌덩어리의 개수와 이동 방법을 수학적으로 계산하여 해결책을 도출한 바 있다. 또한...2024.10.10
-
중앙대 다빈치 예술여행 보고서 족보2024.10.071. 몬드리안의 '신조형주의' 1.1. 피에트 몬드리안의 작품 피에트 몬드리안의 작품은 추상회화 중에서도 매우 단순화된 기하학적 형식을 특징으로 한다. 빨강, 파랑, 노랑의 삼원색과 검은색, 회색, 흰색의 무채색만을 사용하여 캔버스를 수직과 수평선으로 구분하여 구성한 작품이 대표적이다. 몬드리안은 자연을 관찰하여 그 본질적 요소인 수직선과 수평선, 그리고 기본 색채만을 추출하여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관조와 균형, 조화를 담고자 하였는데, 이러한 작품 세계는 '신조형주의'라는 새로운 추상회화 양식을 개척하였다. 몬드리안...2024.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