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글로벌 시대 예술 가치 교안2024.10.091. 예술의 발전과 사상적 배경 1.1. 세잔의 회화와 메를로 퐁티의 관점 세잔은 후기 인상주의파로 불리는데, 이는 기존의 인상주의와 차별화되는 측면이 대상의 견고함에 대한 추구였기 때문이다. 세잔은 대상을 다시점으로 파악하고 이를 하나의 시점 안에 겹치는 방식을 사용하여 대상의 견고한 사물성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메를로 퐁티는 세잔의 이러한 작품 경향을 "숭고한 지속"이라고 표현하였는데, 이는 세잔이 대상의 고유한 실재를 시간의 흐름 속에서 포착하고자 했음을 의미한다. 메를로 퐁티에 따르면, 세잔의 회화는 실재나 본체가 시공간...2024.10.09
-
한국의 미학을 현대화 한 작가 연구2024.09.271. 박서보 작가 연구 1.1. 서론 본 작가 연구에서는 박서보 화백의 생애와 초기부터 현재까지 작업의 변화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초대 모마 관장인 알프레드 바아는 "현대미술이 자기반성적 과정에 의해 전개되고, 시간을 초월한 보편적인 언어"라고 했다. 초기작부터 살펴보며, 박서보 화백의 변화 과정과 대상을 제거한 독자적인 모노크롬 회화방식이 가지는 '초시간성'의 조형언어를 탐구하고자 한다. 또한, 작가가 추구한 가치와 관계없이 모더니즘 미술관 개념에 기초한 작품이 화이트큐브 형태의 뮤지엄이나 갤러리에 걸리게 되면서 작품이 갖게...2024.09.27
-
네오다다이즘2024.11.261. 네오다다이즘과 플럭서스 1.1. 네오다다이즘 1.1.1. 정의와 특징 네오다다이즘은 제2차 세계대전 후, 미국에서 추진된 전위예술운동이다. 제1차 세계대전 중에 일어난 다다의 운동을 정신적으로 이어받고 기존의 가치체제를 부정하며, 일상적인 오브제나 그 파편을 주위에서 떼내어 화면에 도입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자 했다. 즉, 다다 운동이 주로 기존 가치의 부정을 목적으로 파괴와 반항으로 시종한 데 비해, 네오다다이즘은 반예술적 활동을 그대로 창조 행위로 전화하고 여기에 적극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역사적으...2024.11.26
-
산업디자인론2024.11.261. 한국산업디자인의 역사 1.1. 태동기(1876~1910) 태동기(1876~1910)는 세계 근대 문화의 유입과 디자인 개념의 태동기로 볼 수 있다. 1876년 인천 개항을 시작으로 개화기라고 불리는 이 시기에는 잦은 전쟁과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서도 디자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사진이나 인쇄물이 선교사를 통해 중국과 일본을 경유해 들어오기 시작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신식 인쇄시설인 반문국이 설치되고, 첫 한글 전태자모가 제작되어 가 창간되었다. 또한 최초의 민간 출판사인 광인사가 설립되었고, 석판인쇄기를 비롯한 최신 설비가 도...2024.11.26
-
미술2024.09.021. 추상표현주의의 등장 배경 1.1.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경제적 번영과 고립주의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전쟁으로 인한 피해를 크게 입지 않은 채 전례 없는 경제적 번영을 누리게 되었다. 전쟁이 주로 유럽에서 벌어졌기 때문에 미국은 전쟁의 혼란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었다. 오히려 전쟁 복구 수요에 힘입어 1920년대 미국 경제는 큰 호황을 누리게 되었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는 "자본주의적 이상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고, 자유와 평등이라는 신대륙의 이념이 현실화될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이 팽배해졌다. 그...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