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위험부담2024.09.121. 보건의료 시장 실패와 정부 대응 1.1. 보건의료 시장 실패의 원인 보건의료 시장에서 발생하는 시장 실패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서비스 공급에 있어 정보의 비대칭성이 크다는 점이다. 의사와 환자 간 정보 격차로 인해 의사는 자신이 가진 전문성을 이용하여 자신의 이익을 추구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의사는 과다한 진료나 불필요한 의료행위를 하게 되어 의료 자원이 비효율적으로 배분될 수 있다. 둘째,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의 비탄력성이다. 건강과 생명은 소비자에게 매우 중요하므로 가격 변화에 덜 민감하...2024.09.12
-
위험부담2024.10.111. 지불보상제도와 위험부담 1.1. 포괄수가제 및 총액제의 위험부담자 차이 포괄수가제와 총액제는 위험부담자의 차이가 있다. 포괄수가제의 경우 의사에게 환자 한 사람당, 그리고 진료 하루당, 질병별로 보수단가를 설정해 보상하는 방식으로 외래는 방문당으로, 입원은 질병별로 설정된 수가를 보상하게 된다. 따라서 포괄수가제에서는 의사의 입장에서는 재정적 위험이 존재한다. 만약 진료에 소요되는 비용이 수가보다 많다면 의사가 손실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환자의 입장에서는 질병 유무나 서비스 이용과 상관없이 일정 금액을 지불하면 되...2024.10.11
-
보건경제학2024.10.111. 지불보상제도 1.1. 지불보상제도의 개념과 특징 지불보상제도는 의료기관이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환자와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받는 총액을 정하여 사용량과 가격에 의해 진료비를 지불하는 제도이다. 이러한 보건의료서비스와 관련된 지불보상제도는 건강보험과 관련이 깊으며 환자와 의료기관 간의 금전적 거래를 조절하고 제어하는 중요한 요소다. 이러한 제도는 국가 및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이름으로 존재할 수 있다. 지불보상제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료비 결정으로 지불보상제도에서 진료비는 의료서비스의 사용...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