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탄핵과 시민불복종2024.12.191. 한나 아렌트의 혁명 개념과 2016-2017년 촛불집회 1.1. 서론 2016-2017년 청계광장에서 시작된 촛불집회는 대한민국 헌정 사상최초의 대통령 탄핵이라는 결과를 초래한 대한민국 현대사의 중요한 사건이다. 이 촛불집회에 대해 다양한 가치판단의 기준이 제시되고 있으며 현 문재인정부는 이 촛불집회를 촛불혁명이라는 이름을 붙이기까지 하고 있다. 우리는 이 사건에 대해 동시대적인 시각으로 완전하게 중립적인 시선을 가지는 것은 어렵지만 다양한 사람들이 이 사건을 어떻게 판단하고 있는 다양한 견해에 건전한 비평을 통해 천천히 이...2024.12.19
-
집단해법 촛불시위2025.01.011. 서론 1.1.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시민사회란 정부와 기업 영역 외의 제3의 영역으로, 시민들이 자유롭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결속하고 토론과 합의를 통해 사회운동을 전개하는 영역이다. 시민사회는 공익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시민단체, 이익단체, 시민운동 조직 등이 연대하여 목소리를 내고 행동한다. 2016-17년 촛불집회는 시민사회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가 광화문 광장을 중심으로 전국적인 규모의 집회로 이어졌다. 민중총궐기 투쟁본부에서 시작한 이 집회는 이후 다양한 시민단...2025.01.01
-
한국 민주화2024.09.181. 서론 1945년 조선의 독립 이후, 민주 공화정을 내세운 대한민국이 국내에 들어서게 되었다. 하지만 불안정한 체제 속에서 도입된 민주주의는 국가의 폭력에 의해 짓밟혔고, 그 과정에서 수많은 이들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국민들은 2·28 대구민주화운동부터 비롯된 투쟁을 통해 국가의 폭력과 맞섰다. 마침내 전두환 정부가 6.29 민주화 선언을 발표함으로써 독재 정부는 막을 내렸다. 하지만 2016년, '일명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언론에 의해 드러나게 되면서, 정부의 국정 논란에 분노한 국민들은 촛...2024.09.18
-
집단해법 촛불시위2024.12.241. 시민사회와 참여민주주의 1.1. 시민사회란 오늘날 시민사회는 이 세 가지 이해가 혼재하면서도 제3의 영역으로 간주되는 것이 대다수의 입장이다. 정부와 같이 법의 강제력이 작용하기보다는 자발성을 기초로 하고 있고, 시장과 같이 이윤을 추구하기보다는 헌신에 의해서 작동하는 영역이 바로 시민사회인 것이다. 시민사회는 시민들의 자유롭고 자발적인 참여와 결속, 토론과 합의, 사회운동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추진된 4대강 사업은 수질 개선과 가뭄 및 홍수 예방 등을 기치로 하여 22조가 넘는 비...2024.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