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9개
-
촉법소년2024.09.101. 서론 최근 촉법소년의 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형법 개정이 논의되고 있다. 기존의 촉법소년 상한 연령인 만 14세 미만에서 만 13세 미만으로 개정이 논의되고 있고, 이는 소년범죄 예방과 재범 방지를 위한 종합대책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일반적인 형사 사건과 달리 소년범죄의 경우 소년법에 따라 처분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소년범죄에서도 형사 책임연령을 기준으로 촉법소년과 범죄소년이 구분된다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촉법소년은 성장 도중에 있어 인격적으로 미숙하고, 성인 범죄에 비하여 상습성의 정도가 낮아 개...2024.09.10
-
촉법소년2024.12.141. 소년범죄와 보호처분 1.1. 소년범죄의 개념 및 의의 소년범죄는 범죄 주체의 연령을 기준으로 성인범죄와 구분되는 개념이다. 소년법 제2조에 따르면 19세 미만인 자를 소년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소년범죄는 연령에 따라 10세 이상 14세 미만의 촉법소년과 14세 이상 19세 미만의 범죄소년으로 구분된다. 촉법소년은 형법상 형사책임능력이 없어 보호처분의 대상이 되며, 범죄소년은 형사처벌 대상이지만 소년법의 적용을 받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처럼 소년범죄는 성인범죄와 구분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소년이 아직...2024.12.14
-
촉법소년법2024.10.171. 서론 1.1. 촉법소년 및 범법소년의 정의와 현황 촉법소년은 만 10세 이상 14세 미만의 소년으로, 살인과 같은 심각한 범죄를 저질러도 형사적 책임을 지지 않으며 보호처분만 받게 된다. 반면 범법소년은 만 10세 미만의 소년으로, 어떠한 범죄를 저질러도 형사적 책임으로부터 완전히 제외되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는다. 최근 서울 노원구에서 만 10세 미만의 초등학생이 70대 노인을 돌에 맞혀 사망하게 한 사건이 발생하면서, 이들에게 아무런 법적 처벌이 가해지지 않는 것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가 고조되고 있다. 이처럼 ...2024.10.17
-
촉법소년법 폐지2024.12.041. 소년법 폐지 및 촉법소년 연령하향에 대한 논의 1.1. 소년법 폐지 찬성 논거 1.1.1. 청소년 범죄율 증가와 재범률 상승 최근 10년간 인구 10만명당 18세 이하 소년범죄자 발생 비율이 36.4% 증가했고, 소년범의 재범률도 크게 상승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전체 소년범 중 초범 비율이 2006년 63.9%에서 2015년 50.2%로 13.7% 감소한 반면, 4범 이상 재범률은 2006년 6.1%에서 2015년 15.2%까지 크게 증가했다. 이는 청소년들의 범죄를 적절히 처벌하지 ...2024.12.04
-
촉법소년의 처벌을 강화해야 하는 이유2024.09.081. 서론 촉법소년과 범법소년에 대한 법적 처벌은 사회 안전과 질서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의 범죄 행위는 개인과 사회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를 예방하고 통제하기 위해 법적 조치가 필요하다. 청소년은 사회에서 가장 취약한 집단 중 하나이다. 그러나 그들이 범법 행위를 저지르게 되면 이는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촉법소년과 범법소년의 범행은 그들뿐만 아니라 피해자와 사회 전체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때로는 소중한 생명이 손실되기도 하고, 무고한 피해자들은 심리적으로 큰 상처를 입게 된다...2024.09.08
-
촉법소년 레포트2024.09.031. 소년범죄와 법적 처벌 1.1. 소년범죄의 실태와 증가 추세 최근 몇 년간 청소년 범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9년까지 18세 이하 청소년의 범죄율(10만 명당 범죄 발생 건수)이 등락을 보이며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786건에서 2015년 737.4건, 2016년 810.6건, 2017년 799.5건, 2018년 750.3건, 2019년 780.5건으로 일정 수준을 유지하며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 10년간 18세 이하 범죄자 수도 2011년 1...2024.09.03
-
경찰학개론2025.03.071. 서론 최근 한 10대 여중생이 아파트 엘리베이터에 붙어 있던 게시물을 무심코 뜯은 후 재물손괴 혐의로 검찰에 송치된 사건이 큰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다. 이 사건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사소한 행동처럼 보이지만, 법적으로는 타인의 재산을 훼손한 범죄로 간주되어 형사처벌의 대상이 되었다. 이에 경찰은 여중생이 촉법소년에 해당하지 않으며, 그녀의 행동이 정당한 사유 없이 위법성을 지닌 것으로 판단해 검찰에 송치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과연 경찰이 법적 절차를 충분히 준수했는지, 그리고 이러한 처분이 사회적으로도 정당하...2025.03.07
-
촉법소년하향2024.10.291. 서론 우리나라에서는 만 14세가 되지 아니한 자는 형법을 위반하는 행위를 하더라도 '소년법'에 의거하여 형사처벌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 증가하는 촉법소년의 강력범죄로 인해 촉법 연령 하향의 필요성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촉법 연령을 낮추는 것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우리 사회는 촉법소년의 범죄 증가와 그 흉포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촉법소년의 연령기준을 하향하는 것은 범죄 예방과 사회적 안전을 도모하...2024.10.29
-
촉법소년반성문2024.09.141. 소년법 개정 논의 1.1. 소년법 개정의 배경 소년법 개정의 배경은 다음과 같다. 최근 청소년 범죄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2020년 3월에는 초등학생 8명이 렌터카를 훔치고 경찰을 피해 도주하다 오토바이와 충돌해 차주를 사망에 이르게 한 사건이 있었다. 2019년 12월에는 경기 구리시에서 초등학생이 친구에게 흉기를 휘둘러 숨지게 한 사건이 발생하였고, 2013년 3월에는 강원도 원주시에서 초등학생 6명이 지적장애 여성을 차례로 성폭행한 사건도 있었다. 이와 같이 최근 청소년들의 범죄가 점점 더 흉악해지고 저연령화되는...2024.09.14
-
범죄피해자 보상(보호.지원)의 근거와 당위성에 대하여 논하라2024.10.231. 서론 1.1. 아동학대 범죄의 실태 과거부터 오늘날까지 다양한 범죄 중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범죄의 유형은 아동학대와 관련된 범죄라 말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많이 발생하고 있다. 아동학대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은 꾸준히 이루어져 왔으나 현재 우리나라의 아동학대 범죄는 여전히 줄어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5년간 소년범죄는 물론 14세 미만 촉법소년이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도 계속 증가 추세다. 지난 2016년 3만 3,738건이었던 소년보호사건은 2020년 3만 8,590건으로 약 15% 증가하였다. 14세 미만 촉법...2024.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