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초대교회사 주요 연대 및 유스토 곤잘레스 요약2024.09.211. 기독교 역사의 배경과 초대교회 1.1. 기독교의 역사적 기반 기독교의 역사적 기반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기독교는 유대교의 연장선상에 있다는 점이다. 예수님께서는 유대 민족의 역사와 구약성경을 바탕으로 가르침을 펼치셨으며, 처음 기독교 공동체 또한 유대교 내에서 형성되었다. 예수님께서는 당시 유대교의 율법주의와 형식주의를 비판하며 새로운 메시아적 이야기를 펼치셨다. 따라서 기독교는 유대교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메시아 신앙으로 발전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기독교는 당시 헬레니즘 문화권 내에서 발전했...2024.09.21
-
중세 수도원 운동과 수도승의 삶2024.11.051. 수도원 운동과 선교 역사 1.1. 수도원 운동의 시작과 의의 수도원 운동은 '홀로'라는 의미를 가진 헬라어 '모노스'에서 유래한 것으로, '세상과 떨어져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의 삶을 사는 것'을 뜻한다. 교회사에서 보면 3세기에 이집트의 사막 지역에서 기도와 명상, 금욕적 삶을 통해 하늘의 즐거움을 맛보고 영혼의 구원을 바라며 홀로 거하여 영적인 생활을 영위하였던 은둔자들의 생활로부터 기원한다. 그들은 이집트 사막에서 은둔 생활을 했던 사도 바울을 모델로 삼아 세상과 엄격히 격리된 생활 속에서 영혼을 위한 고행의 삶을 자원하...2024.11.05
-
연세대학교연합신학대학원2024.10.201. 사도 바울의 삶과 신학 1.1. 저자 소개 저자 이종원 교수는 현재 숭실대학교 겸임교수로 베어드학부대학에서 기독교 교양과목과 기독교학대학원에서 강의하고 있는 현직 교수이다. 그는 숭실대학교 철학과, 장로회신학대학원,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에서 수학한 후 기독교윤리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는 '기독교 생명윤리' 외에도 '성서다시보기(공저, 숭실대학교 출판부)', '기독교 윤리로 보는 현대사회(북코리아)' 역서로는 '히포크라테스와 생명윤리(북코리아)' 등이 있다. 1.2. 바울과 예루살렘 공의회, 그리고 안디옥 사건 바...2024.10.20
-
세계교회사2024.09.021. 기독교의 배경 1.1. 유대적 배경 알렉산더 대왕의 헬레니즘 시대에 유대인들은 소수 지파들로 느슨하게 구성된 집단이었으나, 정치적 독립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대제국들이 몰락했다가 일어서기 전의 정체기에만 가능했던 일이었다. 알렉산더의 정복 사업 이후 유대인들은 관용적 정책에 힘입어 민족적, 종교적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셀류쿠스가 다스리던 시기, 안티오쿠스 4세가 강제 헬레니즘 정책을 펼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그는 예루살렘 성전에 제우스 신상을 세우고 숭배를 강요했다. 이에 반발이 거세져 마카비를 필두로...2024.09.02
-
사도바울2024.09.061. 사도 바울의 인적 사항과 배경 1.1. 회심 전 사도 바울 1.1.1. 유대인 출신 로마 시민권자 바울은 유대인 출신 로마 시민권자였다. 사도행전 22장 3절에 따르면 바울은 자신을 "길리기아 다소에서 났고"라고 소개하며, 유대인 출신임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동시에 그가 "로마 시민권을 가진" 자라고 말한다. 당시 로마 시민권을 취득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주로 로마 황제나 총독들의 공로를 인정받아 시민권을 받는 경우가 많았다. 바울의 경우, 자신은 "나면서부터 얻었다"고 말하고 있는데, 이는 그의 선대로부터 이미 로...2024.09.06
-
어 성경2024.09.041. 성경 읽기 입문 1.1. 성경 구조에 대한 이해 성경 구조에 대한 이해는 성경을 보다 깊이 있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먼저 우리가 현재 가지고 있는 성경은 여러 권의 책이 모여 만들어진 것이다. 본래는 한 개씩 따로 있던 두루마리가 어느 계기에 합본이 된 것이다. 성경의 정경화 과정을 살펴보면, BC587년 구약시대 유대국가가 바벨론에게 멸망한 후 페르시아에 점령되었고, 이후 알렉산더 대왕이 유다 땅을 정복하였다. 알렉산더 대왕이 단명하자 그의 부하 프톨레미가 이집트와 시리아를 지배하게 되었다. BC3세기 말 프톨레미 2...202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