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개
-
신앙인으로서 내려놓음2024.09.201. 회심의 변질 1.1. 회심과 변화 회심과 변화"은 사복음서에 가득한 이야기였다. 사람들의 신념, 소속, 행동에 엄청난 변화를 일으킨 것이 바로 회심이었다. 회심은 곧 변화를 의미했다. 초기 기독교는 고난과 멸시 속에서도 성장을 이어갈 수 있었다. 예배가 매력적이었기 때문이 아니라 교인들의 매력적인 삶, 개개인의 삶과 그에 따른 특징, 생명력 넘치는 공동체를 가꾸어 갔기 때문이었다.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또 다른 요인은 그리스도인의 신념이었다. 회심은 신앙의 예비자들이 자신을 '재사회화'의 과정에 복종시킬 때 일어났다. ...2024.09.20
-
묻고 답하는 예배학 독후감 예시2024.10.311. 예배에 대한 일반적 이해 1.1. 예배의 성격과 의미 예배의 성격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예배는 하나님께 경배와 찬양을 드리는 것으로,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드리는 가장 중요한 신앙행위이다. 예배는 하나님께서 주도하신 사건으로, 인간이 하나님께 나아가 그분과 만나는 거룩한 만남의 시간이다. 예배를 통해 신자들은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고 그분을 찬양하며 그분의 은혜에 감사한다. 예배의 본질은 삼위일체 하나님께 경배하고 영광을 돌리는 것이다. 예배에서 하나님께서는 신자들에게 말씀을 전하시고 그들을 축복하신...2024.10.31
-
초대교회2024.10.101. 초대교회의 역사와 신학 1.1. 역사서술의 특성과 기독교 역사관 역사서술의 특성과 기독교 역사관은 다음과 같다. 역사란 과거에 실제로 일어난 사건들의 기록이지만, 역사가의 객관성 확보에는 한계가 있다. 역사가의 지식과 사료의 한계, 그리고 역사적 환경 등으로 인해 주관적인 해석과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권력에 의해 거짓으로 기록되거나 승자에 의해 왜곡될 수 있다"" 기독교 역사관은 이와 같은 역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기독교 역사관에 따르면, 역사는 하나님께서 주도하시는 구속의 역사이자 계시의 역사이다....2024.10.10
-
하루만에 꿰뚫는 기독교 역사2024.10.011. 기독교 역사의 전환점 1.1. 콘스탄티누스와 밀라노 칙령 콘스탄티누스와 밀라노 칙령은 기독교 역사에 있어서 한 획을 긋는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313년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서방 제국의 리키니우스 황제와 함께 밀라노에서 공동 칙령을 발표하여, 이로써 250년 가까이 지속되어왔던 기독교에 대한 박해가 종식되었다. 콘스탄티누스는 312년 서로마의 정제였던 막센티우스를 밀비우스 다리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물리치며 서로마의 유일한 황제가 되었다. 이 전투에서 콘스탄티누스는 자신의 승리가 그리스도의 도움으로 이루어졌다고 믿었는데...2024.10.01
-
초대교회 선교2024.10.101. 사도행전을 통해 본 초대교회와 선교 1.1. 초대교회의 시작과 발전 초대교회의 시작과 발전은 다음과 같다. 구약성경에서 "교회"를 가리키는 중요한 히브리어는 '카할'과 '에다'이다. '카할'은 세속적이거나 종교적인 모임을, '에다'는 종교적 의식을 행하는 모임을 의미한다. 이 두 용어는 '카할 에다'로 합쳐져 "회중 총회" 또는 "회중의 모임"이라는 통합적 의미로 교회를 나타낸다. 신약성경에서는 '에클레시아'와 '수나고게'가 사용된다. '수나고게'는 유대인들의 종교 집회나 예배 건물을 지칭하고, '에클레시아'는 신약의 ...2024.10.10
-
빌립보서2:19-22하나님의 사람 디모데2024.09.111. 사도행전과 바울서신 개괄 1.1. 사도행전 사도행전은 누가복음의 저자인 누가에 의해 기록된 저술로, 예수님의 승천 이후 초대교회의 출현과 성장, 특히 사도 바울의 선교 여행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저자 누가는 신약성경의 저자들 중 유일한 이방인이자 수준 높은 교육과 지성을 갖춘 의사로서, 바울의 동역자였다. 사도행전의 주된 관심사는 예수 그리스도의 승천 이후 성령이 충만한 초대교회가 예루살렘을 출발하여 점차 이스라엘을 넘어 온 세계로 복음을 전파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저자 누가는 예루살렘에서 시작된 초대교회의 복음...2024.09.11
-
베네딕도 수도원 운동2024.11.061. 수도원 운동 1.1. 수도원 출발과 의의 '홀로'라는 의미를 가진 헬라어 '모노스'에서 유래한 수도원은 '세상과 떨어져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의 삶을 사는 것'을 뜻한다. 교회사에서 보면 3세기에 이집트의 사막 지역에서 기도와 명상, 금욕적 삶을 통해 하늘의 즐거움을 맛보고 영혼의 구원을 바라며 홀로 거하여 영적인 생활을 영위하였던 은둔자들의 생활로부터 기원한다. 그들은 이집트 사막에서 은둔 생활을 했던 사도 바울을 모델로 삼아 세상과 엄격히 격리된 생활 속에서 영혼을 위한 고행의 삶을 자원하였다. 그들은 자기 부정과 헌신을 ...2024.11.06
-
마태복음 독후감2025.03.201. 소개 마태복음은 신약성경의 첫 번째 책으로, 그간 많은 독자들의 관심을 끌어왔다. 여러 복음서 중에서 가장 앞서 있다는 점, 그리고 유대교와의 긴밀한 연결고리를 보여준다는 점이 특징으로 지적된다. 초대 교회에서는 유대교와의 연속성을 드러내는 성격이 강하다고 여겨져 맨 앞에 배치했다고 전해진다. 즉, 당시 그리스도인들은 오랫동안 이어져 온 유대교의 신앙적 토대를 부정하거나 거부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 뿌리에서 신앙이 싹트고 열매를 맺는 느낌으로 메시야에 대한 믿음을 발전시켰다. 이러한 맥락에서 마태복음이 가지는 의미가 적지 않았...2025.03.20
-
어성경2024.09.051. 성경 읽기와 이해 1.1. 성경의 정경화 과정과 배열 우리가 현재 가지고 있는 성경은 여러 권의 책이 모여 만들어진 것이다. 본래는 한 개씩 따로 있던 두루마리가 어느 계기에 합본이 된 것이다. 성경의 정경화 과정은 다음과 같다. BC587년 구약시대 유대국가가 바벨론에 의해 멸망하였다. 이후 페르시아(바사)가 바벨론을 정복하였고, 그리스의 알렉산더 대왕이 유다 땅을 정복하였다. 알렉산더 대왕의 죽음 후 그의 부하들 중 프톨레미가 이집트와 시리아 일대를 차지하였고, 유대 땅도 프톨레미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BC3세기 말,...2024.09.05
-
장로의 직무와 예식서2025.04.011. 장로의 직무와 예식서 장로는 교회를 대표하는 치리자로서, 그 직무와 임직 예식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회정치의 원칙에 따르면 교회의 자유는 개인에게 양심의 자유가 있는 것과 같이 어느 교회나 교파든지 교인의 입회와 출회, 교인과 직원의 자격, 교회 정치의 조직을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 안에서 설정할 자유권이 있다. 교회의 직원들 중 장로는 교회를 대표하는 치리자로서, 그 자격과 선거, 권한과 임직에 관한 규례는 성경에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교회는 이 규례에 따라 장로를 선택하여 당회를 조직하고 그 당회로 치리...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