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체포술의 의의와 목적 및 호신술 고찰2024.10.161. 체포술의 의의와 목적 1.1. 체포술의 개념정의와 목적 1.1.1. 의의 체포란 범죄의 조사 또는 방지와 사법기관에 출석하게 하려고 사람의 자유를 빼앗는 행위이다. 체포란 용어는 사람의 신체를 직접적으로 구속하여 그 신체 활동이 자유를 박탈하는 것을 말하며, 피의자의 신병확보를 목적으로 행해지는 단시간의 신체 구금을 뜻한다. 또한, 죄를 범하였다고 의심할만한 타당한 이유가 있는 피의자에 대하여 단시간 내 수사관으로 등의 일정한 장소에 강제로 끌어들이는 제도를 말한다. 즉, 체포는 '죄인을 붙듦' 또는 '죄인의 신체를 붙들거...2024.10.16
-
강제처분과 강제수사의 개념2025.04.241. 강제처분과 강제수사의 개념 1.1. 서론 형사소송 절차를 진행하거나 형벌의 집행을 확보하기 위해서 국가 공권력을 사용하는 것을 강제처분이라고 부른다. 강제처분을 할 수 있는 주체는 여럿이 있는데, 이 중에서도 특히 수사기관이 하는 것을 강제수사라고 한다. 형사소송과 관련된 절차는 수사기관이 집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형사소송과 관련된 강제처분은 대부분이 강제수사라고 해도 무방하다. 체포와 구속, 압수 및 수색은 강제수사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것들이다. 이들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제한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그러나 ...2025.04.24
-
현행 형사소송법상 신체구속된 피의자 피고인의 권리2025.04.271. 서론 1.1. 형사절차상 신체구속의 의의 형사절차상 신체구속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형사소송절차에서 수사 기관은 범죄 혐의가 있는 자를 체포하거나 구속할 수 있다. 체포와 구속은 범죄 수사에 불가피한 조치로 간주된다. 혐의자를 자유로운 상태로 두면 도주하거나 증거를 은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범죄 혐의자가 자유로운 상태로 있다면 추가 범죄를 저지를 우려도 있다. 하지만 체포와 구속은 신체의 자유와 거주이전의 자유 등 기본권을 제한하는 조치이므로, 이러한 신체구속이 필요한지 여부와 그 적정성은 매우 엄격히 심사되어야 한다...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