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을 적고, 이 조항의 세 가지 요소를 예를 들어 설명하세요2024.09.141. 한글 맞춤법 총칙 1.1. 한글 맞춤법 개요 한글 맞춤법 개요는 한글 맞춤법의 가장 기본이 되는 토대라고 할 수 있다. 한글 맞춤법에 대한 전반적인 골격과 원칙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글 맞춤법은 크게 표준어와 소리, 그리고 어법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마련되었다. 첫째, 표준어이다. 한글 맞춤법은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 즉 표준어를 기준으로 삼고 있다. 표준어가 아닌 방언이나 고어, 속어 등은 한글 맞춤법의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는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둘째, 소리대로...2024.09.14
-
조사의 단어 인정 논의 한국어학개론2025.01.131. 서론 1.1. 조사의 현재 위치 조사의 현재 위치는 다음과 같다. 조사는 문장에서 자립형태소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뜻을 더해주는 단어이며, 토씨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는 부속어 가운데 활용을 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독립적으로 쓰이는 것은 거의 없고 앞의 체언에 붙어서 그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런 점에서 조사를 접미사의 일종으로 보는 의견도 있다. 조사는 우리 국어를 인도유럽족과 구분되게 하는 특징이다. 또한 조사는 명사항과 결합하여 격을 나타내는 표지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2025.01.13
-
한국어의 품사를 기능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각 품사의 예를 10개씩 총 90개의 단어와 뜻을 쓰시오2025.04.051. 서론 1.1. 한국어 품사의 기능적 분류 체계 한국어의 단어들은 형태가 변하거나, 변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단어들은 문장 속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에 따라 구분된다. 이를 '5언'이라 하며, '체언, 용언, 수식언, 관계언, 독립언'으로 나뉜다. 이는 기능적 특성에 따른 품사의 분류라고 할 수 있다. 체언에는 문장 내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의 기능을 하는 명사, 대명사, 수사가 포함된다. 수식언에는 체언을 수식하는 관형사와 용언을 수식하는 부사가 있다. 독립언에는 문장 내에서 독립적으로 쓰이는 감탄사가 있다. 관계언에는...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