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원폭투하로 인한 일본 영향2024.10.081. 일본 원폭 생존자 연구의 의의 및 고찰 1.1. 일본 원폭 생존자 집단 연구의 의의 고선량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이미 많은 경우의 연구에서 입증되어 있다. 특히, 방사선이 에너지 선임을 감안하면 이론적으로도 고선량 방사선이 인체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 것인지에 대해서 이론적, 계산적 추정이 가능하다. 또한 직접적인 동물실험 등을 통해서 증명 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저선량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를 진행하는 것 자체의 어려움이 많이 생긴다. 우선은 저선량 방사선이 단기간에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2024.10.08
-
히로시마 나가사키2024.10.081. 원폭의 비극과 그 영향 1.1.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와 그 피해 1.1.1. 히로시마 원폭 투하 1938년, 독일의 과학자였던 오토 한은 핵분열 현상을 발견하게 되었다. 핵분열이란, 원자핵이 중성자를 받으면 두 원소로 갈라지는 것을 말하는데, 우라늄은 이를 통해 바륨과 크립톤으로 분열하고 질량의 일부는 빛과 에너지로 변환되었다. 이에 독일의 독재자 히틀러는 이를 이용해서 원자폭탄을 만들고자 하기도 했으나 일부 핵심적인 독일 과학자들이 유태인이어서 해외로 망명해버리는 등의 이유로 실행에 옮기지는 못하고 있었다. 그...2024.10.08
-
대피소지정하기2024.11.291. 방사선 비상 대응 방안 1.1. 방사선 비상 개요 원전에서 방사능 누출사고가 발생해 방사선 비상이 발령되는 경우, 사고의 심각성에 따라 단계별로 대응하게 된다. 먼저 방사성물질의 누출로 인한 영향이 원자력 시설의 건물 내부에 국한될 경우 백색 비상이 발령된다. 이 때는 비상 사이렌이 울리고 주민보호조치가 필요하지 않다. 이어 방사성물질의 누출로 인한 영향이 원자력 시설의 부지 내부에 국한될 경우 청색 비상이 발령된다. 이 때 정부에서는 "실내 대피" 안내 방송을 내보내며, 주민들은 문을 닫고 가스와 전기 사용을 차단하는 ...2024.11.29
-
응급위기관리2024.08.271. 체르노빌 원전 사고 1.1. 재난의 유형 정의 및 근거 체르노빌 원전 사고는 방사능 유출 사고로 인한 원자력 재난이다. 이는 원자로의 설계적 결함과 안전 규정 위반, 운전 미숙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발생한 사회재난이었다. 사고 당시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는 '소련의 자랑'으로 불렸던 RBMK형 원자로를 가동하고 있었다. RBMK형은 제어가 어렵고 저출력에서 불안정해지는 단점이 있었지만, 핵연료 교체가 가능하고 출력이 크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안전장치 검증이 미흡한 상태에서 무리한 실험을 진행하다 사고가 발생하였다. ...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