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개
-
건강사정 복부2024.09.211. 복부 해부학 1.1. 내장의 분류 복부 내장은 크게 단단한 내장과 속이 빈 내장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단단한 내장은 특정한 모양을 유지하는 장기로, 췌장, 간, 비장, 신장, 난소, 자궁 등이 이에 속한다. 반면 속이 빈 내장은 내장 속 내용물에 따라 다른 모양을 갖는 장기로, 위, 담낭, 소장, 결장, 방광 등이 해당된다. 단단한 내장은 일반적으로 촉진이 가능하지만, 속이 빈 내장은 대개 촉진되지 않는다. 복부 내장의 분류는 각 장기의 해부학적 구조와 특성에 따라 이루어지며, 이는 복부 검사 시 정확한 위치 파악과 장기 확...2024.09.21
-
건강사정 심장2024.09.231. 심장 및 혈관 건강 사정 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근육성 기관으로 흉강 중앙의 종격동에 위치하고 있다. 심장은 4개의 공간, 즉 좌우 심방과 좌우 심실로 이루어져 있다. 심장의 무게는 여성의 경우 약 255g, 남성의 경우 약 310g 정도이다. 심장의 모양은 역 원추형이며, 기저부는 좌측 제2늑간에 위치하고 있고, 첨부는 좌측 제5늑간과 좌측 중앙쇄골선이 만나는 부위에 위치한다. 심장은 두 가지 주요 기능을 하는데, 우심장은 혈액을 폐로 보내어 산소가 공급되도록 하는 폐순환을 담당하고, 좌심장은 산소가 공급된...2024.09.23
-
성인간호학 하부호흡기계2024.10.071. 상부호흡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1.1. 구조와 기능 상부호흡기계는 코부터 후두까지의 공기 통로로, 공기를 전달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코와 부비동, 인두, 그리고 후두로 구성되어 있다. 코와 부비동은 공기 통로의 가장 상부에 위치한다. 코는 뼈와 연골로 이루어져 있으며, 코 안쪽의 전정은 빈 공간이다. 코 점막 일부분은 후각상피세포로 덮여 있고, 모세혈관이 많아 공기를 습하고 따뜻하게 유지한다. 부비동은 전두동, 사골동, 접형동, 상악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두는 코에서 후두에 이르는 부분으로, 비인두, 구...2024.10.07
-
시뮬레이션 아동간호 크룹2024.10.071. 아동의 호흡기계 특성 1.1. 해부학적 차이점 아동의 호흡기계는 성인의 호흡기계와 해부학적으로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첫째, 출생 시부터 사골동(ethmoid sinus)과 상악동(maxillary sinus)이 존재하지만 전두동(frontal sinus)과 접형동(sphenoid sinus)은 6-8세까지 발달하지 않는다. 둘째, 상대적으로 아동은 크고 무거운 머리와 작은 입, 짧은 목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상기도의 구조가 성인에 비해 작고 좁은 편이다. 셋째, 아동의 콧구멍과 후비공이 작아 기도의 저항이...2024.10.07
-
건강사정 신체계통별 정상 비정상 소견2024.09.301. 건강사정 개요 1.1. 건강력 건강력은 대상자와의 효율적인 면담을 통해 병력을 청취하여 수집하는 것으로, 대상자의 주호소(CC), 현병력(HPI), 과거력(PMI), 가족력(FH), 개인력과 사회력(SH), 계통별 문진(ROS)으로 구성된다."" 정확한 건강력 수집을 위해서는 치료적 의사소통 기술이 필요한데, 이는 대상자와의 라포 형성, 경청, 눈맞춤, 정보 제공 등의 기술을 포함한다. 반면 충고, 일시적 안심 등의 비치료적 의사소통 기술은 지양해야 한다."" 주호소는 대상자가 방문한 이유로, 그 말을 그대로 기록한다. ...2024.09.30
-
건강사정 요약정리2024.09.301. 신체검진법 1.1. 시진 시진(inspection)은 시각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사정하는 것이다. 간호사는 대상자를 만날 때부터 검진이 끝날 때까지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대상자의 언어적·비언어적 표현, 호흡 등을 파악한다. 먼저 포괄적인 사정을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초점사정을 실시하여 관심 있는 부위나 증상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펜라이트, 검안경, 이경, 비경, 질경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동공반사, 망막, 시신경 유두, 황반부 등을 관찰할 수 있다. 검진 시 대상자의 불편함이나 통증을 고려하여 필요 부위만...2024.09.30
-
환자1차평가2024.11.051. 응급환자 사정 1.1. 개요 1.1.1. 시진, 촉진, 청진, 문진을 통한 정보 수집 시진, 촉진, 청진, 문진을 통한 정보 수집은 응급환자 사정의 기본적인 방법이다. 시진은 환자의 신체 특정 부위를 관찰하여 색깔, 윤곽, 대칭 여부 등을 확인하는 것이다. 청진은 청진기를 사용하여 환자의 호흡음이나 심장소리 등을 듣는 것이다. 촉진은 손으로 만지고 느껴서 조직의 특성, 압통 유무 등을 확인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문진은 환자나 보호자와의 질문을 통해 병력을 조사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정보 수집 방법을...2024.11.05
-
건강사정 복부2024.10.281. 복부 검진 1.1. 복부의 구조 복부는 소화기계, 비뇨생식기계, 내분비계, 혈관계 등 다양한 장기와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복부는 위쪽으로는 늑골모서리에서부터 아래쪽으로는 치골과 서혜부까지를 포함하며, 옆으로는 옆구리까지를 포함한다. 복부 내에는 호흡기계를 제외한 대부분의 내장기관이 존재하는데, 특히 위장관계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복부 내에는 위, 소장, 대장과 같은 소화기관과 간, 담낭, 췌장, 비장 등의 부속소화기관, 그리고 신장, 방광과 같은 비뇨생식기관이 위치해 있다. 이러한 장기들은 복강 내에서 특정한 해...2024.10.28
-
건강사정 기말2024.12.051. 건강 사정 1.1. 건강력 사정 1.1.1. 면담 면담은 건강력 사정의 첫 단계로, 간호사와 대상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대상자의 건강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이다. 면담은 간호사와 대상자 간의 신뢰관계 형성, 정보 수집, 정보 분석 및 활용으로 이루어진다. 면담 준비 단계에서 간호사는 대상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조용하고 편안한 면담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전문적인 의학용어 대신 대상자가 이해할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하고, 천천히 명료하게 의사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 면담 시 간호사는 효과적인 의사소통...2024.12.05
-
기침 급성통증2024.09.061. 기침과 관련된 급성 통증 1.1. 간호 사정 1.1.1. 주관적 자료 애기가 기침을 심하게 하고 너무 힘들어 해요.""기침이 심해질 때 마다 애기가 보채는 것도 심해지고 아파해요.""기침이 심하니깐 잠도 못 자고 보채는 시간이 늘어났어요." 1.1.2. 객관적 자료 Dx.: Acute tonsillitis에 따르면 객관적 자료로 "RR 50회/분, SpO2 91%", "청진 시 Wheezing, both LL rale 들림.", "CRIES: 9점(울음 2점, 산소 투여 필요 2점, 활력징후 1점, 얼굴 표정 2점, 불면 ...2024.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