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철학의이해 인간관 타당성과 부당성 분석2024.10.101. 철학자들의 인간관 1.1. 플라톤의 인간관 1.1.1. 진리 탐구자, 플라톤의 인간관 플라톤은 인간을 진리를 향해 나아가는 존재로 정의한다. 그의 철학에서 인간은 단순히 감각으로 세상을 받아들이는 존재가 아니다. 감각은 일시적이고 가변적이기 때문에 참된 지식에 이를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없다. 진정한 인간은 이보다 더 깊은, 보이지 않는 본질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플라톤이 제시한 이데아 세계는 인간이 추구해야 할 궁극적인 진리로, 이곳에서만이 참된 지식에 도달할 수 있다. 즉, 인간은 이데아를 깨닫기...2024.10.10
-
국가론 1장 트라시마코스와 소크라테스의 정의에 관한 논쟁2024.11.251. 정의에 대한 논의 1.1. 트라시마코스의 정의관 1.1.1. 정의는 '더 강자의 이익' 트라시마코스는 "정의는 '더 강자의 이익'"이라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민주 체제, 참주 체제, 귀족 체제 등 그 나라의 정치 형태에 따라, 지배하는 자들은 그들의 편익에 부합하게 법률을 제정하고 통치한다. 즉, 어떤 국가든 수립된 정권의 편익이 올바른 것이고, 수립된 정권은 언제나 힘을 행사, 즉 지배하는 자들이기 때문에 정의는 더 강한 자의 편익이 된다는 것이다. 트라시마코스는 이를 통해 정의에 대한 현실적이고 냉소적인 관점을 표...2024.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