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낮은 헤모글로빈 수치2024.11.131. 암환자의 혈액검사 1.1. 기본 혈액검사 항목과 정상수치 1.1.1. Hb (헤모글로빈) 헤모글로빈(Hb)은 적혈구 중의 철을 함유하는 단백질로, 산소의 운반을 담당한다. 헤모글로빈량이 감소되면 빈혈이 발생한다. 헤모글로빈의 정상범위는 남성의 경우 14~18g/dL, 여성의 경우 12~16g/dL이다. 헤모글로빈 수치가 정상범위 미만이라면 빈혈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헤모글로빈은 적혈구의 주요 성분으로, 혈액 중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헤모글로빈의 구조는 철을 함유한 단백질인 헴과 단백질인 글로빈이 결...2024.11.13
-
Admission note2025.01.121. 입원 기록 1.1. 입원 이유 및 현병력 임신 30주 2일의 환자가 갑작스러운 질 출혈로 인해 본원에 전원되어 입원하였다. 주호소로 질 출혈이 있었으며, 예정 분만일은 2022년 4월 6일이다. 출산력은 G2P1L1A0로, 이전에 자연분만을 한 경험이 있다. 현병력으로는 ㅇㅇ병원에서 임신 30주 2일 중 질 출혈이 발생하여 연고지로 전원되었다. 과거력 및 사회력으로는 부인과 병력, 성병, 고혈압, 당뇨, 간염, 암, 폐결핵, 간질, 정신질환, 풍진, 바이러스병, 정맥염, 심장질환, 내분비질환, 폐질환, 콩팥질환 등의 병력이 ...2025.01.12
-
분만실 GDM 제왕절개 간호진단2025.03.071. 서론 최근 우리나라의 임산부 평균 나이가 증가하면서 다태임신이 늘어나고 제왕절개 분만이 급증하는 추세이다. 실제로 전체 임산부의 약 45%가 제왕절개 수술로 분만을 하였고, 우리나라의 제왕절개 분만율은 OECD 국가 평균보다 매우 높은 편이다. 이처럼 제왕절개 분만이 증가하는 이유는 아두골반 불균형, 과거 제왕절개분만 경험, 중증 자간전증, 전치태반이나 태반조기박리, 태아 질식 등 다양한 적응증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임신성 당뇨병을 진단받은 산모의 경우 제왕절개분만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 중 인슐...2025.03.07